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임기가 1일 843일을 맞으며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기재부를 이끈 장관이 됐다. 이날 기준으로 이명박 정부 두 번째 경제사령탑이었던 윤증현 전 기재부 장관(842일)의 역대 최장수 재임 기록을 넘었다.

홍 부총리는 취임 후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를 맞이해 소재·부품·장비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등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에 악전고투했다. 특히 지난해는 59년 만에 한해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는 유례없이 바쁜 날을 보냈다. 

◇ 홍남기에 대한 엇갈린 평가

홍 부총리는 일본 수출 규제 국면에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를 이끌어 위기를 기회로 삼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서 금융시장의 안정과 마스크 5부제 실시 등 빠르게 대처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또한 경제 위기 상황에서 선진국 가운데 최상위권의 성장률을 기록해 경제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도 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워 수 차례의 사의 표명에도 대통령이 만류한 바 있다. 

반면 주요 경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에게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 경제사령탑의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주주 기준을 놓고 민주당과 신경전을 벌이다 사의를 표한 바 있고, 같은해 4월에는 민주당과 재난지원금 보편지급을 두고 힘겨루기를 하다 밀린 바 있다.

또 일각에서는 코로나19로 실물경제가 어려운 상황임에도 ‘균형재정’, ‘재정 건전성’만 중시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경제 정책을 이끌어야 하는 경제부총리가 ‘곳간지기’만 자처했다는 것이다. 이에 홍 부총리가 재정 중심으로 판단해서 생기는 한계라고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 실제로 4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민주당은 ‘보편+선별지급’을 주장했지만, 홍 부총리가 ‘재정은 화수분이 아니다’라며 극렬히 반대했다.

◇ ‘최장수 부총리’ 홍남기의 앞날

‘최장수’ 부총리라는 타이틀이 생기면서 홍 부총리의 퇴진 시점에도 관심이 쏠린다. 최근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경질되면서 청와대 정책실장·경제수석이 함께 교체됐고, 연쇄적으로 기재부 1·2차관도 새로 임명되면서 새 경제사령탑이 발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홍 부총리 임명 당시에도 청와대는 김동연 부총리와 장하성 정책실장을 동시에 교체한 바 있다.

아울러 정세균 국무총리가 대선 출마를 위해 총리직을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홍 부총리 역시 교체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홍 부총리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강원지사로 출마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정 총리의 후임으로 홍 부총리가 발탁돼 코로나19 사태 대응과 정권말 민생경제 안정을 이끌 수 있다는 추측도 제기된다. 경제성장률에서 선방한 홍 부총리를 기용해 문재인 정부 임기 말 성과내기에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경제 분야에서 성과를 낸 홍 부총리에 대한 문 대통령의 신뢰가 두텁다는 것도 이유로 거론된다. 

반면 경제 상황이 위중한 만큼 문재인 정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경제사령탑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만일 홍 부총리가 교체되지 않을 경우 남은 과제는 녹록치 않다. 최근 산업활동동향,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주요 경제지표들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제조업은 생산량이 증가했으며 서비스업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으므로, 경제회복을 이끌어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실물경제 회복 역시 과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