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9일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하고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정부가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를 맞은 우리나라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9일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하고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국가우주위원회는 국가 우주개발의 주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한 민·관 합동위원회다.

◇ 제3차 우주계획,민간 주도 고체연료 발사체 개발 및 발사장 구축 ‘눈길’

이날 국가우주위원회는 미사일지침 종료, 한-미 위성항법 협력 등 한-미 정상회담의 우주분야 성과를 실현하기 위한 우주개발 계획을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에 반영·심의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수정(안) 주요내용은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 개발  △민간 발사장 구축  △고체연료를 활용한 킥모터 개발 검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구축 계획 마련의 4가지로 구성됐다.

먼저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 개발’은 오는 2024년까지 고체연료 기반의 소형발사체 개발·발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계획은 민간 우주산업체 주도로 이뤄질 예정이며, 우리나라가 그동안 축적한 고체추진제 기술을 활용해 고체연료 발사체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민간 발사장 구축’은 다양한 민간 기업들이 발사체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민간 발사 인프라(발사장 등)를 구축하는 계획이다. 발사장은 발사·통제 시설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해 우리나라의 유일한 우주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 내에 설치될 예정이다.

‘고체연료를 활용한 킥모터 개발 검토’는 발사체 상단에 설치돼 발사체의 우주탐사선 투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고체추진단 킥모터(Kick-Motor) 개발을 말한다. 킥모터를 장착한 발사체는 탑재를 우주탐사선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어 달·소행성 등 우주탐사 시 임무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킥모터 개발의 경우엔 향후 우주탐사 수요에 따라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구축 계획 마련’은 지난달 이행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한-미 위성항법 협력 공동성명 관련 사항’이 반영됐다. 미국 GPS와의 공존 및 상호운영성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과 GPS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기반으로 국민들이 보다 향상된 위성항법시스템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오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시 오는 2022년부터 △일반 서비스(상용 GPS급) △SBAS 서비스(국제민간항공기구 표준 보강서비스) △미터급 서비스 △센티미터급 서비스 △탐색구조 서비스 등의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기정통부, “초소형 위성 및 6G시대도 대비할 것”

아울러 이날 국가우주위원회에서는 ‘초소형 위성 개발 로드맵’과 6G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위성통신 기술 발전전략’도 함께 심의됐다.

과기정통부는 ‘초소형 위성 개발 로드맵’을 통해 공공 수요 확대를 통한 초소형위성 시장 조성, 설계부터 발사·운용까지 민간기업의 위성 개발 전주기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해 초소형위성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초소형위성은 여러 대를 군집으로 운용해 동일 지점을 더 자주, 또는 동일 시간에 더 넓게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기간·저비용 개발이 가능한 장점도 있어 새롭게 주목받는 우주항공 기술 분야다.

‘6G 시대의 위성통신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수립한 ‘위성통신 기술 발전전략’은 6G 지상-위성 통합망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저궤도 위성통신 역량 확보, 정지궤도 위성통신 경쟁력 강화 등을 주요 전략으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031년까지 총 14기의 저궤도 통신위성 발사를 통해 저궤도 군집위성 시범망 구축 지원 및 국내 위성통신 기술경쟁력 확보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목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공공영역이었던 우주개발을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선진국 대비 40여년 늦게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 수준의 지상관측 위성, 미세먼지를 관측할 수 있는 정지궤도 위성, 세계 7번째 규모의 우주발사체 독자엔진 등 발전을 이어나가고 있는 우리의 우주개발 역량을 민간 산업체와 잘 조화시킨다면 뉴스페이스 시대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