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2일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추진해 온  ‘디지털 뉴딜 2.0’의 주요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오는 2025년까지 약 49조원의 예산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온라인 브리핑 캡처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추진 중인 국가 핵심사업 ‘디지털 뉴딜’의 후속정책을 발표한다. 디지털 뉴딜은 ‘4차 산업혁명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추진되는 국가 핵심사업으로 △D.N.A(데이터, 네트워크, AI) 생태계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SOC(사회간접자본) 디지털화로 나뉘어 진행 중이다.

◇ 49조원 투입되는 ‘디지털 뉴딜 2.0’, “국토·산업 전반으로 성과 확대할 것”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2일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추진해 온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를 종합하고, 향후 추진될 ‘디지털 뉴딜 2.0’의 주요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오는 2025년까지 약 49조원의 예산을 디지털 뉴딜 2.0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7월 시작된 디지털 뉴딜 1차 계획 예산이 38조5,000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약 10조5,000억원 가량 증가한 수치다.

이번에 추진되는 디지털 뉴딜 2.0은 크게 △구축된 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활용 강화 △중점 프로젝트의 성과를 전지역·전산업으로 디지털 확산 △내수 진작과 글로벌 진출·신산업 전략적 육성의 세 가지 사업 방향으로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2.0은 그간의 성과를 국토·산업 전반으로 확산하는 한다는 목표”라며 “향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미래 신산업을 집중 육성하고자 하는 전략으로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구축된 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활용 강화’ 목표에 따라 정부는 ‘데이터댐’ ‘5G 고속도로’ 등 그간 구축해온 디지털 인프라를 다양한 민간영역에서 적극 활용해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적극활용’ 등 민간 주도의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조성을 다각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 ‘중점 프로젝트’의 성과를 전 지역·전 산업으로 ‘디지털 확산’ 목표에 따라 5G·AI 등 주요 사업에서 나타난 성과가 파급·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대규모 확산 사업이 추진된다. 디지털 트윈 등 주요 기술과 타 산업 간의 융합·연계도 촉진할 예정이다.

세 번째 ‘내수 진작과 글로벌 진출·신산업 전략적 육성’은 우리 기업이 확보한 디지털 혁신 기술·서비스가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미래를 선도할 초연결·초실감 신산업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계획이다. VR·AR 등의 융합프로젝트를 통한  메타버스 개방형 플랫폼 구축 등 생태계 조성과 PIM반도체 등 미래핵심기술 본격화, 블록체인·사물인터넷 등 신산업 육성 등이 이에 포함된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관계부처와 함께 지속 발전하고 진화하는 디지털 뉴딜 2.0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며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민간과 협업·소통해 디지털 뉴딜 2.0의 분야별 추진계획을 구체화하여 발표·시행함으로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