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소비자원의 리콜 권고 중 70% 이상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상품 구매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소비자 보호 강화 요구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올해 한국소비자원의 리콜 권고 중 70% 이상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상품 구매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이 소비자보호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송가영 기자  올해 한국소비자원의 리콜 권고 중 70% 이상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상품 구매가 폭증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소비자 보호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5년간 리콜 권고 건수는 총 987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 기준 리콜 권고 건수는 229건으로 지난해 총 리콜 권고 건수 221건을 넘어섰다. 

이 중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리콜 권고 건수는 지난 5년간 512건이었다. 올해 8월 기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리콜 권고 건수는 166건으로 지난해 총 리콜 권고 98건에서 약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올해 리콜 권고 중 72%는 온라인플랫폼이 차지했다.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리콜 권고 건수를 기록한 곳은 네이버로 총 340건으로 집계됐다. 11번가는 168건, 이베이 코리아는 135건, 인터파크는 82건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쿠팡의 경우 지난 2019년부터 집계되기 시작했으며 올해 8월까지 리콜 권고 건수는 총 156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8월 기준으로 쿠팡의 리콜 권고 건수는 103건으로 리콜 권고를 받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 중 가장 높았다. 네이버는 90건, 이베이코리아는 45건, 티몬이 32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김 의원은 이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해외 상품 접근성이 높아진데 따라 리콜 권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만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소비자 피해 구제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한국소비자원이 수행하는 리콜 이행 확인 절차를 강화해 사업자가 리콜 권고를 충실히 따르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은 해외 배송 상품 입점 시 상품에 대해 꼼꼼히 검토하는 등 소비자 보호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