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기업집단에 포함된 대방건설그룹이 연일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올해 대기업집단에 포함된 대방건설그룹이 연일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거침없는 성장세 속에 올해 처음 대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린 대방건설그룹이 연이은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가뜩이나 대기업 등극에 따른 당면과제가 산적한 가운데, 구찬우 회장의 발걸음이 꼬여만 가는 모습이다.

◇ 왕릉 옆 무허가 아파트 논란에 ‘벌떼입찰’ 꼼수까지

대방건설그룹은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즉 대기업집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자산총액이 5조원을 넘어서면서 전체 기업집단 중 66위로 ‘대기업’ 타이틀을 획득한 것이다. 

이는 대방건설그룹의 거침없는 성장세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대방건설그룹의 핵심인 대방건설은 2015년까지만 해도 건설업계에서 50위 안팎(시공능력평가 순위 기준)에 불과했던 입지가 올해 15위로 수직상승했다. 실적 역시 2015년 7,300억원대였던 매출액이 지난해 1조5,000억원대로 껑충 뛰었다.

하지만 ‘대기업’ 왕관을 쓴 이후 대방건설그룹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 연일 불편한 논란에 휩싸이며 성장통의 민낯을 드러내고 있는 모습이다.

먼저, 대방건설은 최근 상당한 사회적 파문을 낳고 있는 문화유산 인근 무허가 아파트 논란의 주인공 중 하나다. 대방건설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김포 장릉 인근에 아파트를 지으면서 반드시 거쳐야 할 사전심의를 받지 않아 문화재청으로부터 고발됐다. 문화재 보호구역인 이곳은 문화유산의 경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고도 등을 문화재청으로부터 심의 및 허가를 받도록 돼있다.

이에 대해 대방건설 등 건설사들은 해당 부지를 매각한 인천도시공사가 2014년 김포시청에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받았다는 입장이며, 최근 개선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의 아파트를 철거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는 등 거센 파문이 이어지고 있다. 사회적으로 큰 화제가 된데다 나쁜 선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는 만큼, 철거 등 초유의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방건설그룹이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소위 ‘벌떼입찰’ 논란으로도 연일 구설에 오르고 있다. 대방건설그룹이 페이퍼컴퍼니 등 계열사를 대거 동원해 공공택지를 낙찰 받고, 이를 계열사끼리 주고받으며 규제를 피해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공공택지는 추첨을 통해 낙찰이 이뤄지는데, 정부는 2016년부터 공공택지 입찰 참가자격을 ‘최근 3년간 300가구 이상 주택 공급실적이 있는 기업’으로 강화했다. 그런데 대방건설그룹은 실체가 불분명한 페이퍼컴퍼니를 동원하는가 하면, 계열사끼리 택지를 전매하는 방식으로 참가자격을 확보해 규제 강화를 무색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한창 진행 중인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등장했으며, 구찬우 대방건설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요청 또한 제기되고 있다.

대방건설그룹은 앞서도 내부거래 및 지배구조 관련 문제로 불편한 논란이 끊이지 않은 바 있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논란들까지 더해지며 세간의 곱지 않은 시선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논란들은 대부분 대방건설그룹의 가파른 성장과정과 무관하지 않다. 이는 단기간 내의 개선 및 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뜩이나 대기업집단에 등극하며 한층 강화된 규제와 감시를 마주하고 있는 대방그룹 입장에선 까다로운 당면과제들이 쌓여만 가고 있는 셈이다.

한편, 대방건설그룹은 현재 오너일가 2세인 구찬우 회장과 그의 매제인 윤대인 대방산업개발 대표를 두 축으로 경영체제 및 지배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계열사가 43개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상장사는 단 한 곳도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