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TF’(이하 TF)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지난 10월 25일 발생한 KT의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발생 사태를 계기로 향후 재발방지 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됐다./ 사진=시사위크DB, 뉴시스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정부가 국가 통신망 마비 사태와 같은 통신재난을 막기 위한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는 2일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TF’(이하 TF)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지난 10월 25일 발생한 KT의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발생 사태를 계기로 향후 재발방지 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를 통해 이번 네트워크 장애 사태의 원인 분석과정에서 드러난 네트워크 관리·운용의 문제점 등에 따른 관리적·기술적·구조적 대책 등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TF에는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등 정부 관계 부처와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세종텔레콤 등 국내 주요통신사업자들이 참여했다. 

객관적 평가를 위해 외부전문가들도 TF에 참여했다. 참여 외부전문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KICI) 등 국가 연구기관과 한양대학교, ICT폴리텍대학, 한국통신학회 등 학계 전문가들이다.

이날 회의에서 TF는 주요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관리·운용의 안정성 확보 대책과 TF 운영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과기정통부 허성욱 네트워크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해 주요통신사업자와 관계부처, 네트워크 등 관련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로 운영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허성욱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최근 디지털 전환에 따라 네트워크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에 과기정통부는 신속히 대책을 마련해 통신 이용의 지속성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나아가 신뢰성 있는 데이터기반 사회의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전한 통신환경 구축 방안을 강구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지난 10월 25일 발생한 KT 네트워크 장애 사고와 관련해 전문가들과 사고조사반과 함께 원인을 조사·분석한 결과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작업 관리자 없이 KT 협력업체 작업자들끼리만 라우팅(네트워크 연결)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입력값 누락으로 인해 대규모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