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개최된 제22차 일자리위원회에서 ‘디지털 전환을 위한 D·N·A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을 상정·발표했다./ 시사위크DB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 역시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2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개최된 제22차 일자리위원회에서 ‘디지털 전환을 위한 D·N·A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을 상정·발표했다. 여기서 D·N·A란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일컫는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그간의 정책성과를 일자리의 관점에서 분석해 현재 추진 중인 D·N·A분야 각종 지원정책들이 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3대 전략 14개 세부과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먼저 첫 번째 전략은 ‘D·N·A 분야 일자리 창출 가속화’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고용창출과 연계한 데이터 댐을 구축해 내년 데이터 분야 일자리에 청년, 고용 취약계층 등 4만5,000명의 참여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데이터 구축 참여자들이 기본소양 함양부터 중·고급인재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역량 증진 교육(내년 1만명 목표)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5G 융합서비스, 메타버스, 정보보호 등 신산업 분야 투자 확대와 인재양성을 동시에 추진한다. 세부 사업 추진 방향은 △디지털 오픈랩 운영(내년 400명→2025년 누적 3,000명) △ 메타버스 아카데미 신설 △융합보안대학원 확대(올해 8개교→2025년 12개교) 등으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신산업의 성장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 전략은 ‘일자리 수요에 대응한 디지털 핵심인재 집중 양성’이다. 산업현장의 수요가 많은 중·고급 디지털 인재양성을 확대하고, 디지털 신기술 분야 재직자의 직무역량 고도화를 지원한다는 목표다. 세부 사업 추진 방향은 △중·고급 인재양성 규모(학부 및 석·박사생) 증대(올해 5,570명→2025년 9,400명) △SW 재직자 현장맞춤형 훈련 (2025년까지 총 2,650개사)로 구성됐다.

또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기업이 직접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는 현장중심·채용연계형 SW교육과 지역 인재양성도 확대한다. 세부 사업 추진 방향은 △청년미소 프로젝트 (2025년까지 총 8,000명) △지역 내 ICT 인재양성 확대(올해 6,940명→내년7,540명)이다.

세 번째 전략은 ‘DNA 분야 포용적 일자리 기반 확충’이다. 제조·금융 등 각 분야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전환 교육과 디지털 비전공자 대상 신기술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교육에는 총 3만2,000명(2025년까지) 참여하며, 비전공 대학생 디지털 신기술 교육에는 내년 디지털혁신공유대학 8개 컨소시엄이 참여한다.

또한 내년부터는 ‘군 장병 SW‧AI 교육을 위한 시범부대 지정’과 ‘군 정보화교육장 인프라 개선’도 추진된다. 시범부대는 △육군 5군단 △해군 7전단 △공군 7전대 △해병대 사령부 등의 정보통신부대 중심 1,000여명이다. 군장병 대상 SW‧AI에는 내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총 5만 명이 참여하게 된다.

이밖에도 내년에는 청년 구직자를 위한 기초 디지털역량 개발 및 디지털 배움터를 통한 지역 기반 디지털 교육 일자리도 지원된다. 세부 사업 추진 방향은 △디지털 기초역량 훈련(K-Digital Credit) (5만5,000명) △디지털배움터 교육 (전국민 50만 명) △디지털배움터 교육 일자리 (강사·서포터즈 등 3,600명)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는 그간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많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였다”며 “정부는 디지털 분야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와 함께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디지털 역량 제고 지원을 확대하고 일자리 변화에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촘촘히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