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세계 ICT 서비스 수출 중 한국의 수출 점유율은 0.98%로, 주요 수출국 21개 중 21위인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디지털 전환 시대를 눈앞에 둔 우리나라가 세계 ICT 서비스산업 수출 부문에서는 주요 수출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2일 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계 ICT 서비스 수출 중 한국의 수출 점유율(세계 총 수출 중 특정 국가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0.98%로, 주요 수출국 21개 중 최하위 수준인 21위라고 밝혔다.

이는 ICT서비스 수출 1위인 아일랜드(16.41%)는 물론,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다. 특히 ICT 제조업 수출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총수출액 기준)인 점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불균형이 드러났다는 것이 전경련 측 설명이다.

우리나라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아직 미흡한 수준이었다. 한국 ICT 산업 부가가치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으나,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으며, OECD 평균 4.8%에도 미치지 못했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서비스 산업 경쟁력 부족 원인으로 ICT 혁신 기술의 활용도가 낮다는 점도 지적했다. 

실제로 전경련 측에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OECD에 따르면 한국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비중은 22.7%로 OECD 35개국 중 32위에 불과했다. 또한 RFID(무선주파수식별기술, 42.2%)를 제외한 빅데이터(3.2%), ERP(27.9%) 등 주요 기술의 활용도도 OECD 국가들의 평균 수준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전 세계적으로 ICT경쟁력이 기업과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추세라면서, 우리나라도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ICT서비스 산업의 역량 강화가 시급하다”며 “OECD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이 고도화된 기업일수록 높은 이익을 누릴 수 있고 고도의 디지털 집약 기업은 일반 기업에 비해 평균 55.1%의 초과이익을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ICT 혁신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을 좌우하는 핵심역량으로 부상하면서 기존의 인프라 중심의 성장에서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인적자본 등의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조언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최근 대선을 앞두고 모든 후보들이 차기정부의 경제정책으로 중요시하는 부분이 ICT 산업”이라며 “진정한 디지털 경제 강국이 되기 위해서 한정된 자원을 미래지향적인 발전 동력으로 삼는 청사진을 제시하는 정책이 업계와 국민의 공감을 얻지 않을까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