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미국과 소련 등 강대국들의 ‘국가 정부’를 중심으로 추진됐던 우주산업은 이제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민간 기업들이 주도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정부와 민간 기업들의 협력을 통해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바야흐로 전 세계가 ‘대(大)우주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지난해 10월 21일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를 계기로 올해 우주항공사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하지만 과거 미국과 소련 등 강대국들의 ‘국가 정부’를 중심으로 추진됐던 우주산업은 이제 민간 기업들이 주도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정부와 민간 기업들의 협력을 통해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 ‘뉴 스페이스 시대’… 민간주도 우주개발 전환이 곧 ‘국가 경쟁력’

우주항공분야 전문가들도 향후 전 세계 우주항공사업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가주도에서 민간주도의 우주개발 전환을 위한 민관협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과학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국익의 목적만으로 운영되는 국가 연구기관의 연구력만으로는 발전에 한계가 뚜렷하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도 ‘발표한 뉴 스페이스 시대,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민관협력 확대 방안(2021)’에서 “최근 각국 정부가 최근 우주분야에서 민관협력을 주요한 혁신수단으로 보고 있다”며 “그 이유는 △민간의 연구개발에서 비용대비 효율성 △우주자산의 짧은 수명에 대한 최소 비용 대안 선택 다양화 △비용 상승과 일정 지연 등 위험의 분산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우주항공산업 강국들은 민관협력을 우주항공산업 분야의 주요 혁신수단으로 인식, 추진 중이다. 그중 대표적 사례는 우리에게 테슬라 CEO로 잘 알려진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다. 

지난 2002년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주요 사업 분야는 발사체 및 엔진, 위성 등의 개발이다. 스페이스X는 세계 최초의 상용 우주선 발사와 궤도 발사채 재활용 등의 성과를 얻으며 그 가치를 입증해왔다. 

특히 지난해 세계 최초로 궤도 로켓의 1단 부스터 수직이착륙에 성공하면서 전 세계 우주항공산업의 역사를 다시 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미국의 NASA(미국 항공 우주국)이나 러시아 연방 우주국 등에서도 성공하지 못한 일이다. 또한 스페이스X는 현재 4만2,000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해 전 세계에 5G통신망을 제공하는 스타링크 역시 운영 중이다. 

민간 기업의 주도하에 성공한 우주항공산업의 대표적 사례는 일론 머스크(사진 왼쪽)가 CEO를 맡은 스페이스X가 대표적이다. 스페이스X는 지난 2002년 설립된 이후 미국의 NASA나 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국이 성공하지 못한 궤도 로켓의 1단 부스터 수직이착륙을 성공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뉴시스, AP

◇ 전문가들, “우주산업, 민간 주도 중요하지만 정부 역할도 매우 중요”

다만 전문가들은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추진의 의미가 정부가 우리나라의 우주항공산업 전체에서 손을 떼고 완전히 민간에게 맡기자는 이야기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어디까지나 기술 부문을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지, 근본적 연구와 지원, 투자 등에 한해서는 정부의 역할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현재 전 세계 민간우주항공산업계를 주도하는 스페이스X의 성공 배경에는 수천억원의 예산을 날리면서도 밀어붙인 일론 머스크라는 ‘괴짜 천재’의 뚝심(2016년 로켓 발사 실패로 8,700억원이 공중 분해된 사례도 있다.)도 있었지만 미국 정부의 과감한 지원도 한몫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006년 당시 미국의 NASA는 2006년 상업용 궤도운송서비스(COTS; Commercial Orbital Transportation Services) 프로그램을 통해 스페이스X에 2억7,800만 달러(한화 3,396억원)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글로벌 우주투자전문회사 스페이스엔젤스가 발표한 보고서 ‘U.S. Government Support of The  Entrepreneurial Space Age(2019)’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사업 시작 10년 동안 약 10억 달러(1조2,196억원)의 총 자금을 운용해 왔는데, 이중 절반은 NASA와의 계약에 대한 선지급금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 역시 2012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 우주선 ‘드래곤’을 발사하는데 성공한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이 성공이 NASA와 함께 일하는 것이 얼마나 큰 영광인지를 말해준다”며 “NASA의 도움 없이는 스페이스X가 이 성공까지 도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감사를 표한 바 있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KDI경제정보센터에서 발간하는 ‘나라경제 2021 01월호’를 통해 “뉴 스페이스는 정부의 우주개발 프로그램과 관계없는 민간자본 투자와 상용기술의 사업 영역으로 정부의 개입이 필요 없다는 것은 오해”라며 “정부는 뉴 스페이스 기업의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앞으로 그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주도의 우주항공산업이 미래 국가 우주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지만, 정부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20일  발사를 위해 제2발사대에 기립된 누리호의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우리나라도 민간 주도 우주산업가속화… 한국형 스페이스X 나올까

이처럼 민간기업의 창의적이고 뛰어난 기술력과 정부 기관의 지원·투자를 병행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 역시 ‘한국형 스페이스X’같은 기업을 발굴하기 위한 발걸음을 가속화 하고 있다.

실제로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주도의 소형발사체산업 육성을 위해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오는 2027년까지  6년간 총 278.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소형발사체의 상단용 엔진을 개발하고, 누리호의 75톤 엔진을 1단으로 하는 2단형 발사체로 확장한다는 목표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22일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소형발사체 분야 ‘2022년도 신규사업 2개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개발기관도 선정했다.

스페이스파이오니어는 소형발사체와 위성 중점기술 16개에 대한 국산화를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난해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총 2,115억원(△국비 1,626억원, 민간부담금 488.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올해 신규로 진행하는 소형발사체 중점기술 국산화 과제는 ‘에비오닉스 통합기술’과 ‘단간연결 엄빌리칼 기술’ 2과제이다. 에비오닉스 통합기술과 단간연결 엄빌리칼 과제의 주관연구개발기관은  단암시스템즈와 한양이엔지가 각각 선정되었다. 

‘에비오닉스(avionics)’는 항공‧우주비행체용 전자장비로 임무제어, 복합항법, 통신, 엔진제어, 전력, 원격측정, 비행종단기능 등 모듈화 및 통합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소형발사체 적용을 위해 기존 장비를 통합하여 중량과 비용을 약 1/5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엄빌리칼(umbilical)’은 발사체에 산화제와 연료, 전기 등을 공급하는 연결장치다. 소형발사체에 적합하도록 비용절감을 위해 발사타워가 필요 없는 단간연결방식으로 개발한다.

과기정통부는 “선정된 기관은 누리호 개발과정에서 유사분야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각 과제에 대한 전문성과 기술능력을 높이 평가 받았다”며 “소형발사체 3개과제가 모두 확정되어 2028년이면 계획된 소형발사체 중점기술 국산화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