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확산으로  집안에서 사람들이 보내는 시간이 예전보다 크게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경제·사회 등 다양한 면에서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바꿨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사람들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3.6%가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처럼 집안에서 사람들이 보내는 시간이 예전보다 크게 늘어남에 따라 홈스테이 관련 사업들도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최근에는 ICT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 사회로의 전환이 이뤄지면서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코로나19에 급성장하는 스마트홈 시장 

‘스마트홈’은 가정 내 기기들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주거환경에 IT를 융합해 경제적 편익과 건강복지증진, 안전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간 중심적인 스마트 라이프 환경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최근 스마트홈 서비스가 IT업계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코로나19로 인한 ‘집콕족’의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허청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스마트홈 관련 국내 출원은 2009년 56건에서 2020년 140건으로 10여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기술 분야로 살펴보면 △스마트홈 가전 510건(40.5%) △건강관리 289건(23.0%) △보안 서비스 254건(20.2%) △스마트 전력제어 205건(16.3%)로 집계됐다.

특허청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홈엔터테인먼트와 원격의료 수요가 커짐에 따라, 이와 관련된 출원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스마트홈에 필수적인 IoT 시스템 도입을 위한 초고속·초저지연 통신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5G통신의 상용화, VR·AR기기 등의 확산으로 넓어지고 있는 엔터테인멘트 및 콘텐츠 분야도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608억달러(한화 74조787억원) 수준이었던 전 세계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오는 2025년 기준 1,785억달러(한화 217조4,844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독일의 스타티스타(Statista)도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이 연평균 21.2%의 성장률을 보이며 오는 2025년 1,953억 달러(한화 238조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올해 ‘캄 테크(Calm Technology)’를 가전 분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스마트홈 사업 분야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사진은 삼성전자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인 부산 에코델타시티(EDC, Eco Delta City)에 미래형 스마트홈 주택단지의 모습./ 삼성전자

◇ 국내 IT업계도 스마트홈 시장 잡기 ‘총력’ 

이처럼 스마트홈 시장이 IT산업계의 ‘핫’한 먹거리로 자리 잡으면서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대표 IT·가전 업계들 역시 스마트홈 서비스로 고객 마음잡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삼성전자의 경우, 자사의 IoT전용 플랫폼인 ‘스마스싱스(SmartThings)’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고 문제를 점검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팀삼성(#Team Samsung)’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200여개 기업들이 스마트홈 생태계 확대를 위해 만든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올해 ‘캄 테크(Calm Technology)’를 가전 분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캄 테크’는 ‘Calm(고요한)’과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로 고객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홈 기술을 뜻한다. 

예를 들어 집안의 공기질을 감지해 로봇청소기와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가동시켜 청정 환경을 만든다.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 사용량을 체크해 절전모드로 가전 제품을 제어해주는 것이다.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부회장도 지난달 30일 미국에서 열린 ‘언박스 앤 디스커버(Unbox & Discover)’ 행사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배우지 않아도 알아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아도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며 캄 테크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LG전자 역시 지난 1월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을 중심으로 ‘업(UP)’ 가전 전략을 발표하며 가전제품 중심의 스마트홈 시장 경쟁력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월 25일 업 가전 전략을 발표하는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부사장./ LG전자

LG전자 역시 지난 1월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을 중심으로 ‘업(UP)’ 가전 전략을 발표하며 가전제품 중심의 스마트홈 시장 경쟁력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업 가전 전략은 고객의 제품 사용패턴을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새로운 기능, 서비스 등을 맞춤형 업그레이드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제품을 사용하는 여정 내내 계속 진화하며 내 삶을 더 편하게 만들어주는 가전을 경험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별도 부품을 장착해 하드웨어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LG전자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사업본부장 류재철 부사장은 1월 2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 자리에서 “UP가전은 끊임없이 진화하며 내 삶을 더 편하게 만드는 가전이자 쓰면 쓸수록 나를 더 깊이 이해하고 내게 맞춰주는 가전”이라며 “사는 순간 구형(舊型)이 되는 가전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IT분야 전문가들은 스마트홈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 역시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 해킹, 정보유출 등 보안문제는 스마트홈의 해결과제

다만 IT분야 전문가들은 이처럼 스마트홈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회적 문제에 대한 주의도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홈 서비스에 연결되는 IT기기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각종 민감한 정보가 담긴 기기들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서는 지난해 11월 스마트홈 기기 해킹 등 네트워크 공격이 우려되는 만큼, 기기 제조기업과 공동주택 관리소, 이용자 등의 주의를 요구하는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가 제안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우선 공동주택 관리소가 지켜야할 주요보안수칙은 △방화벽 등 보안장비 운영 △주기적인 보안취약점 점검 및 조치 △관리 서버에 불필요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거 △관리자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하기 △침해사고 발생 시 인터넷침해대응센터(118)로 신고하기 등이다.

스마트홈 서비스 이용자들의 경우엔 △스마트홈 기기에 반드시 암호를 설정할 것 △암호 설정 시 ’1234‘, ’ABC’ 등 유추하기 쉬운 암호 사용하지 않기 △기기는 주기적으로 최신 보안업데이트 하기(매뉴얼 또는 제조 기업문의 등)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시 카메라 렌즈 가리기 등의 보안수칙을 제안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최근 정보통신기술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에서 가정에 있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홈네트워크 기기를 켜고 끄는 기술이 고도화되고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며 “이를 악용해 해킹을 통한 사생활 영상 유출 등 침해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이용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산업연구원(KIET) 심우중 전문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스마트홈산업(2021)’ 리포트에서 “스마트홈은 가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편의를 제공하나, 악용될 경우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며 “스마트홈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시나리오에 대비한 규제를 마련하고, 신서비스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