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여 간 금융업권 임직원에 의해 발생한 횡령 규모가 1,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횡령액의 회수율은 저조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지난 5년여 간 금융업권 임직원에 의해 발생한 횡령 규모가 1,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횡령액의 회수율은 저조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목을 집중시킨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 자료인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2022년 5월까지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174명에 이르고 있다.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1,091억8,26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45명(89억8,870만원) △2018년 36명(55억7,290만원) △2019년 28명(84억7,370만원) △2020년 31명(20억8,280만원) △2021년 21명(152억6,580만원)△2022년 4월까지 13명(687억 9,760만원)으로 집계됐다.  

업권별로 들여다보면 횡령한 임직원의 경우 은행이 91명(52.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험 58명(33.3%) △증권 15명(8.6%) △저축은행 7명(4.0%) △카드 3명(1.7%) 순으로 나타났다. 

횡령한 금액 규모 역시 은행이 808억 3,410만원(74.0%)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 146억8,040만원(13.5%), △증권 86억9,600만원(8.0%), △보험 47억1,600만원(4.3%) △카드 2억5,600만원(0.2%) 순이었다.

임직원 횡령액 환수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여간 금융권에서 환수한 횡령액은 127억1,160만원으로 전체 횡령액의 11.6%에 그쳤다. 업권 중엔 저축은행의 횡령액 환수율이 5.7%로 가장 낮았다. 이어 은행이 8.4%, 보험이 23.2%, 증권이 43.2%의 환수율을 보였다.

강민국 의원은 “5년여간 확인된 금융업권 횡령금액만도 1,000억원을 넘고, 특히 최근 들어 횡령금액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금융위원회의 금융감독 기능의 부재와 무능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금융 권역별로 연 1-2회 실시하고 있는 금융회사의 감사․준법감시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통제워크숍을 분기별로 늘리고, 천문학적 수준의 우리은행 횡령 사건에 대한 현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해할 것”이라며 제도개선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키워드

#금융위원회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