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한 달여에 걸친 선박 진수 중단 사태에서 벗어났지만, 거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뉴시스
대우조선해양이 한 달여에 걸친 선박 진수 중단 사태에서 벗어났지만, 거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선박 건조 중단 사태가 우여곡절 끝에 막을 내린 가운데, 거센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수천억원대 손해배상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의 씨앗이 남아있는데다, 박두선 사장을 향한 퇴진론까지 정치권에서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선박 건조 중단 사태에 휩싸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22일부터다. 지난달 초부터 파업에 나선 하청 노동자들이 1도크 점거 농성에 돌입하며 투쟁의 수위를 높였다. 이후 갈등이 쉽사리 봉합되지 않으면서 사태는 장기화됐고, 건조 중단에 따른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이 같은 사태는 31일 만인 지난 22일 협상이 타결되면서 마무리됐다. 정부 차원의 압박이 강해지고, 노노갈등 양상이 빚어지는 한편 사회적 여론까지 악화된 영향이 컸다.

한바탕 홍역을 치른 대우조선해양은 즉각 수습 행보에 돌입했다. 협상이 타결된 다음날인 지난 23일, 1도크에서 건조 중이던 선박 중 공정이 마무리된 초대형 원유운반선 1척을 빼내고 다음 선박 건조 준비에 착수했다. 지난 23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여름휴가 기간인데, 휴가 중 특근이 가능한 인원을 1도크에 집중 투입해 공정 지연 문제를 최대한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후폭풍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었던 노사갈등이 여전히 불씨를 남겨두고 있다. 당초 30% 임금 인상을 요구했던 하청 노동자들은 4.5% 인상을 얻어내는데 그쳤다. 물론 하청 노동자들의 실태를 알리고 노조의 실체를 인정받은 점은 큰 성과로 평가되나, 이번 협상 타결이 일시적인 봉합에 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손해배상 문제도 민감한 사안이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이번 파업 및 점거 농성으로 8,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추후 회복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이미 최소 수천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앞서 엄정 대응 방침을 천명했던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노사갈등을 우려해 손해배상 청구에 나서지 않을 경우, 경영진이 배임 등의 문제에 휩싸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손해배상 청구 및 노조 관계자들에 대한 법적 처벌 움직임이 본격화할 경우 노동계 차원의 거센 반발이 불 보듯 빤하다. 특히 최근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은 노정갈등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

한편, 정치권에선 박두선 사장 책임론이 고개를 들었다. 문재인 정부 말기 ‘알박기 인사’ 논란 속에 취임한 박두선 사장을 향해 여당 차원의 공세가 거세지고 있는 것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를 비롯한 경영진은 그간 부실 방만 경영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며 “새로운 경영진이 경쟁력 제고와 획기적인 구조적 방안 등을 담은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러모로 갈 길 바쁜 와중에 극심한 혼란에 빠졌던 대우조선해양이 안정을 되찾고 재도약에 나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