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 측 “화곡동,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등 빌라 많은 대표 지역”

5일 올 상반기 서울 신축빌라 전세거래 중 약 21%가 '깡통주택'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뉴시스
올 상반기 서울 신축빌라 전세거래 중 약 21%가 ‘깡통주택’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이뤄진 신축 빌라(연립·다세대) 전세거래 중 5분의 1 가량이 전세사기 위험이 큰 ‘깡통주택’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5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운영 중인 ‘스테이션3’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지난해와 올해 건설된 서울 지역 신축 빌라 전세거래 3,858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올 상반기 전체 전세거래 중 21.1%(815건)가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의 90%를 웃돌았다고 발표했다.

특히 이 중 전세가격이 매매가와 동일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경우도 593건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부동산업계는 전세보증금이 매매 가격의 80%를 넘어서면 전세사기 위험이 큰 ‘깡통주택’으로 보고 있다.
 
서울 내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서구는 구내 전체 전세거래 694건 중 절반이 넘는 370건(53.3%)이 깡통주택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화곡동의 깡통주택은 304건으로 강서구 내 깡통주택 중 82.2%를 차지했다. 

다방 관계자는 “화곡동은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등 빌라가 많은 대표 지역 중 하나”라며 “인근 김포공항 때문에 고도제한에 묶인 곳이 많아 10층 내외 빌라가 많고 집값이 인근 지역보다 저렴해 주거 수요가 많은 동네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실제 화곡동은 그동안 여러차례 전세사기가 발생한 곳 중 하나다. 지난해 10월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HUG(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화곡동은 2030 청년임차인의 전세사기 피해가 가장 많았다.

당시 화곡동에서 발생한 피해 사례는 498건(20대 85건, 30대 413건)으로 20‧30 전체 피해 사례 1,459건의 34.1%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화곡동은 지난 2017년 4월부터 2020년 1월까지 피해자 136명으로부터 보증금 298억원을 받아 챙긴 이른바 ‘세모녀 전세사기’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부동산업계 및 정부 당국 등에 따르면 HUG는 최근 전세사기 대응 추진단을 구성해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사무실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서구 다음으로 양천구는 총 전세거래 232건 중 48.7%인 113건이 전세가율 90%를 넘는 깡통주택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관악구는 91건 중 44건(48.4%), 구로구 114건 중 42건(36.8%) 등으로 깡통주택 비율이 모두 서울시 평균치(21.1%)를 크게 상회했다.

종로구와 도봉구, 서대문구는 신축 빌라 전세거래가 각각 14건, 45건, 41건으로 타 자치구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깡통주택의 수는 각각 4건(28.6%), 11건(24.4%), 7건(17.1%)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노원구, 용산구, 중구는 깡통주택으로 분류된 거래가 단 한 건도 없었다.

다방 측은 “깡통주택의 기준을 매매가의 80%로 보는 경우도 있어 이 점을 감안하면 실제 깡통주택 비율은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 하반기에도 한국은행 등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어 이에 따른 거래량 실종 및 매매가 하락으로 임차인들은 ‘깡통전세’ 등 전세사기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