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고위험 수입식품을 선별하고 관리하는 '위험예측 기반 검사 시스템'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시사위크=연미선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위험도가 높은 수입식품 등을 선별‧관리하는 ‘위험예측 기반 검사‧관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난해부터 연구사업을 실시해왔다. 식품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발굴해 데이터화하고, 빅데이터를 학습해 위험도가 높은 수입식품 등을 선별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이 목표다.

◇ 위험예측기반 검사 시스템… “내년부터 단계적 구축 예정”

최근 식품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019년 73만8,082건 △2020년 75만993건 △2021년 81만4,618건).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도 복잡‧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식약처는 사전에 위해가 우려되는 제품을 정밀하게 검사해 위해식품의 국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식약처의 수입식품 정책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식품이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와 유통되기까지의 과정 전반에서 안전 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수입 전에는 △해외제조업소 등록‧현지실사 △축산물 수입위생평가 등의 제도가 활용되고 있다. 수입 후에도 △부적합 수입식품 조치 △유통단계 검사명령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수입식품 위험예측기반 검사 시스템’은 이와 같은 식품 수입‧유통과 안전검사 과정에서 고위험 수입식품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검사 시스템은 △빅데이터 수집‧분석 △수입식품 등 위험예측 △위험예측 기반 검사‧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국내외 환경‧기상‧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수집해 안전관리 관점에서 다차원 분석 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쓰이게 된다. 또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빅데이터를 학습해 고위험 제품이나 선제적 관리가 필요한 해외제조업체를 선별할 수도 있다. 특히 수입식품 안전관리의 모든 단계(현지실사‧통관‧유통)에서 위험예측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전망이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달 IT전문 컨설팅 업체와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에 착수했다. 정보화전략계획은 정보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업무 및 정보화 체계에 대한 현황 분석 △목표 모델 설계 △이행계획 수립 등을 포함한 계획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사업 결과와 정보화전략계획을 바탕으로 식약처는 내년부터 ‘수입식품 위험예측기반 검사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향후 수입식품 안전관리 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수입식품 위험예측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위험 수입식품을 정교하게 선별하는 등 집중 관리가 가능해진다”며 “안전관리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식품소비 환경에 대응하고 수입식품의 안전을 강화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