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조는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연이자 탕감 등을 산업은행에 촉구했다. /쌍용차
쌍용자동차 노조는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연이자 탕감 등을 산업은행에 촉구했다. /쌍용차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쌍용자동차가 KG그룹을 새 주인으로 맞기에 앞서 관계인집회라는 마지막 중대기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노조가 산업은행을 향해 지연이자 전액 탕감 및 원금 출자전환을 촉구했다.

쌍용차 노조는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은행을 향한 호소에 나섰다.

노조는 이날 “쌍용차와 340여개 협력사는 한 배를 탄 공동운명체”라며 “쌍용차 협력사들은 법정관리 이전에 발생한 3,800억원의 회생채권이 동결됐는데도 법정관리 이후 2,500억원의 자재대금을 받지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쌍용차의 회생을 믿고 정상적인 자재납품을 이어왔다. 이는 회생절차 조기 종료와 쌍용차의 번영을 통한 동반성장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고통을 함께 인내하며 협력해 온 노력의 결과”라고 운을 뗐다.

아울러 “이에 쌍용차는 KG그룹으로의 매각을 앞두고 있으며, 최종 관문인 관계인집회만 남겨둔 상황”이라며 "KG그룹은 협력사들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단의 변제율을 높이기 위해 인수대금 외에 300억원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한편, 쌍용차 임직원들도 체불임금에 대해 자발적인 출자전환을 통해 회사 정상화에 적극 동참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노조는 “하지만 산업은행은 1,900억원의 원금과 200억원에 가까운 지연이자까지 100% 변제 받는다”며 “KG그룹의 인수대금 3,655억원 대부분이 산업은행의 담보채권 변제에 사용되다보니 상거래 채권단의 실질 변제율이 41.2% 수준에 불과하다. 만약 산업은행이 이자놀이를 중단하고 원금만 보장받는다면 상대적으로 협력사들의 현금 변제율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업의 흥망성쇠는 정부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자동차 부품산업을 육성하고 산업 생태계를 보전하는 것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본분이라는 게 노조의 지적이다. 노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은행이 본연의 책임과 역할을 방기한 채 탁상공론에 빠져 중소 부품사의 어려운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노조는 “무엇보다 공정과 상식이 무너져서는 안 된다”며 “산업은행의 지연이자 포함 100% 현금변제와 중소 영세 협력사의 14% 현금변제가 공정한 변제 방식인지 묻고 싶다. 최소한 국책은행 스스로 지연이자를 탕감함으로 협력사들의 현금 변제율을 제고하는 게 기본 상식이자 사회 정의”라고 거듭 주장했다.

이어 “쌍용차가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상거래 채권단인 협력업체들과의 동반 성장이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라며 “상거래 채권단은 340여개 협력업체로 구성돼있고 60% 이상이 중소업체다. 상거래 채권단과 2, 3차 협력사 및 가족들까지 포함하면 30만명 이상이 된다. 쌍용차 노조와 상거래 채권단은 공정하고 상식적인 기준으로 회생채권이 변제돼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끝으로 “쌍용차의 운명은 26일 관계인집회를 통해 결정 난다. 관계인집회 부결로 인해 KG그룹이 ’투자철회‘를 선언한다면 쌍용차와 중소 영세 협력사는 공멸이라는 끔찍한 파국을 맞을 수밖에 없다. 정책결정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관계인집회 이전에 산업은행의 빠른 결정을 촉구한다”며 지연이자 전액 탕감과 원금에 대한 출자전환, 구체적인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지원 대책 마련 등을 산업은행에 요구했다.

쌍용차 노조의 이 같은 요구에 산업은행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쌍용차의 새 주인 맞기는 원만하게 마무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