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 우리측 수석대표인 이덕행(오른쪽 두번째) 송혜진·김성근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과 북측 대표단 박용일(왼쪽 두번째)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을 비롯해 김영철·리강호씨가 이산가족상봉 행사 준비 논의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통일부 제공)
[시사위크=최찬식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빛을 발하게 됐다. 남북이 지난 5일 ‘2월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한 것도 박 대통령의 굽히지 않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일환이다.

2월 이산가족 상봉 합의를 남북이 이끌어 내기까진 적잖은 진통을 겪었다. 지난달 6일 박 대통령이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한 뒤 북한은 이를 받아들일 듯 하면서도 여러 구실을 대면서 거부해 왔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받아들인 북한은 그동안 앵무새처럼 반복한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또 다른 속셈을 연계함으로써 이산가족 상봉이 무산된 전례도 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북한도 이산가족 상봉 이외에 다른 어떤 요구조건도 달지 않아 상봉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은 적어졌다.

북한은 2월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새로운 남북관계 개선을 희망한 것으로 풀이된다.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공포정치를 대외적으로 돌려 체제안정도 동시에 꾀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복원을 희망했던 것도 이같은 전략과 무관치 않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 뿐 아니라 식량지원 등도 요구할 명분을 갖게 됐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