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구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의 총리내정으로 박근혜 정부의 3각 친정체제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졌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새누리당 이완구 전 원내대표가 국무총리 후보로 내정됐다. 이로써 한 명의 총리 두 명의 부총리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내각 트라이앵글 체제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졌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완구 총리내정자를 비롯해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교육부총리 모두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정치인이라는 점이다.

아직 청문회 절차가 남아있지만 이완구 총리내정자가 무난히 임명될 것이라는 의견에 큰 반론은 없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쓴소리 하는 총리’로 기대감이 높은 상태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모처럼 정치인 출신 총리가 나와 아주 기쁘다. 국민을 위해 할 말은 하는 총리가 돼 달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 이완구 총리내정, 높아지는 ‘책임총리’ 기대감

실세 정치인에 대한 기대감일까. 이른 관측이지만 벌써부터 언론에서는 이 내정자에 대해 ‘책임총리’를 거론하고 있다. 책임총리란 ‘제왕적 대통령제’ 폐단을 막기 위해, 대통령의 인사권 분산 차원에서 헌법에 보장된 국무위원 제청권과 각료 해임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총리를 말한다. 그러나 이 같은 규정에도 불구, 우리 헌정사상 책임총리로서 기능했던 사례는 김종필·이해찬 전 총리 정도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이 내정자는 “책임총리란 말이 법률 용어는 아니고 정치적 용어”라고 규정하면서도 “헌법과 법률에 규정된 총리의 권한을 행사하겠다”고 밝혀 임명제청권과 해임권의 적극적 행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책임총리 담론의 연장선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황우여 교육·사회·문화부총리와의 관계설정도 관심가는 대목이다. 현 내각 체제는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경제부총리와 문화부총리라는 두 개의 축이 받치고 있는 구조다. 이 내정자를 중심으로 최 부총리와 황 부총리의 상호 협력관계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 이완구·최경환·황우여 트로이카 체제 구축

그런데 공교롭게도 세 사람은 여당 원내대표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또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실세 정치인이기도 한다. 의전서열상 이 총리내정자가 우위에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두 명의 부총리와 상하관계로만 규정되기는 어렵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특히 최 부총리는 경우, 사실상 정홍원 국무총리를 대신해 국정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고 평가받는다. 야당에서는 이른바 ‘왕장관’으로 불리기도 했다. 황 부총리 역시 정치입문은 이 내정자와 동시에 했지만, 전임 당 대표를 역임하는 등 경력이나 연령 측면에서 선배가 된다.

이에 대해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치 역사상 일인지하만인지상이나, 양자대립 구도보다는 삼각체제가 국민에게 가장 이상적이었다”며 “삼권분립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삼각일 때 견제와 균형의 묘가 잘 살아난다. 세 명이 모두 정치인 출신인 만큼 견제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국정동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