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이 지난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거리에서 열리는 5·18민주화운동 35주년 전야제에 참석하기 위해 민주대행진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한 시민이 항의를 하고 있다.
[시사위크=최찬식 기자]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가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4·29 재보선 참패로 가뜩이나 어려운 환경에 처한 문재인 대표를 벼랑 끝으로 몰아붙인 것은 정청래 의원의 ‘공갈발언’이었다.

이 발언으로 새정치연합 비주류를 중심으로 ‘문재인 리더십’을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했다. “친노그룹이 당을 장악하고 내년에 있을 총선공천을 좌지우지할 것”, “비주류 물갈이 음모” 등 갖가지 루머가 당내에서 나돌았다.

이 같은 말은 문재인 대표의 리더십에 치명상을 입혔다. 재보선 참패 이후 당내 문제점을 개선한 뒤 보다 ‘강력한 야당’으로 거듭나야 했지만, 오히려 발목이 잡힌 문 대표는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봇물처럼 터진 불만을 달래기 위해 문 대표가 선택한 방법은 정공법. 재보선 참패에 대해 사과를 한 뒤 어물쩍 당을 이끌고 가겠다는 전략이었다. 특히 일각에서 불거진 불만들은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퇴색될 것으로 봤으나 그것은 큰 오산이었다. 당내 중진급 비주류를 중심으로 문 대표의 처신을 문제 삼으며 보다 강도 높은 쇄신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꺼낸 카드가 ‘쇄신’ 카드다. 비주류가 수장이 된 ‘혁신위원회’를 만들어 쇄신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문 대표가 내민 혁신안이다.

문 대표가 중심이 돼 당내 쇄신안을 만들 경우 ‘셀프 쇄신’이란 비난에 직면해 오히려 비주류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주류가 중심이 된 ‘혁신위원회’ 설립을 추진하게 됐다. 문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위원회’ 위원장에 안철수 의원이 거론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하지만 비주류가 수장이 된 ‘혁신위원회’가 설령 가동이 되더라도 ‘문재인 리더십’이 되살아 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게 당내 관계자들의 생각이다. 이미 상처를 받은 문 대표의 리더십은 ‘정치적 극약처방’이 아니고는 되살아날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정치적 극약처방의 방법으로 떠오른 것이 ‘기득권 포기 선언’이다. 문 대표가 포기할 기득권의 폭은 그리 넓지 않다는 게 새정치연합 관계자의 전언이다. 문 대표의 지역구는 새정치연합의 무덤이나 다름없는 부산지역이어서 국회의원 불출마는 기득권 포기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새정치연합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부산지역에 문 대표가 출마하는 게 당 입장에서는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비례대표 선출과 순위결정권 국민에게 돌려줘야

따라서 문 대표가 선택할 기득권 포기는 차기 총선 후보 선정과정의 투명화다. 당 대표 뿐 아니라 어느 누구도 입김을 불어넣을 수 없는 투명한 후보선출 과정을 보장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비례대표 선출이 중요하다고 당내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그동안 비례대표자와 순위 결정에는 당 대표의 입김이 강했던 게 사실이다. 이것은 비단 새정치연합뿐 아니라 새누리당도 마찬가지다. 당 입장에서는 ‘전략적인 선택’의 문제가 있었던 만큼 어떤 형태로든 당 대표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됐다.

하지만 문 대표가 비례대표 후보 선출 뿐 아니라 순위까지 당원과 국민들에게 선택권을 준다면 확실한 기득권 포기가 될 것이란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방법론적으로 여론조사를 통한 인물선정과 순위 결정 등이 거론된다.

여기다 문 대표를 포함한 당 중진들의 기득권 포기선언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차기 총선을 앞두고 공천에만 매달리는 모습을 당 중진들이 보여줄 경우, 신망 받는 새정치연합 건설은 사실상 물 건너 간 것이나 다름없다.

조국 서울대 교수가 “당내 계파를 불문하고 4선 이상 의원은 용퇴하거나 적지에 출마해야 한다”고 말한 것도 기득권 포기와 일맥상통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