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여 사회부총리가 2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긴급 브리핑을 마친 모습.
[시사위크=우승준 기자] 황우여 사회부총리가 ‘명예퇴진’과 ‘경질’의 기로에 섰다. ‘예비비 44억원 편성’ 및 ‘국정화 비밀 TF팀’ 등 끊이지 않는 국정교과서 논란이 ‘황 부총리 경질론’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군도 없다. 친박계 의원들은 물론이고 여당의 수장 김무성 대표까지 ‘경질’을 언급하는 상황이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정부에 있어서 황 부총리가 수행해야 할 막중한 과제다. 황 부총리 역시 이를 모를 리 없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은 지난 2013년 6월로 거를러 올라간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진실이나 역사를 왜곡하는 것은 안 된다”는 발언을 시작으로 천천히 그 모습을 보였다.

◇ 빛바랜 황우여의 ‘단일교과서’ 의지

같은 해 말 당시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교과서 검정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보완하겠다”며 국정화 방침을 암시했으나, 여론은 냉랭했다. 특히 역사학계와 야권의 반응이 차가웠다. 결국 서 장관은 퇴임했다.

따라서 정부 입장에서 ‘국정교과서’를 진행하려면 ‘반대여론 설득’이 절실했던 셈이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 부총리를 선택했다.

황 부총리은 새누리당 대표 시절부터 ‘단일 교과서’를 주장한 바 있다. 실제 지난 2013년 10월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황 부총리(당시 새누리당 대표)은 “역사교과서에 대한 책임은 국가가 직접 떠맡아 올바른 내용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지난해 8월 국회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에도 “국가가 책임지고 한 가지로 가르쳐야 한다”고 자신의 주장을 피력했다. 정부가 황 부총리를 교육부 수장으로 선택한 이유 중 하나다.

교육부의 수장이 된 황 부총리는 지난 1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행정 예고했다. 이후 반대 여론 설득에 팔을 걷어야 했으나, 잦은 논란들이 발생하며 부총리의 발목을 잡았다.

우선 예비비 편성 44억원 논란이다. 국정화 행정 예고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지난 13일 국정 교과서 개발 예산 44억원을 예비비로 의결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여기에 교육부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위해 비공개 전담 조직을 운영해 온 사실까지 드러났다. 지난 2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교육부 소속 수십 명이 지난달부터 국정화 관련 비밀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한 사실을 폭로했다.

국정화 관련 논란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새누리당 내에서도 황 부총리를 겨냥한 경질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지난 26일 김태흠 의원은 “교육부가 대응을 잘못했으니 장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밝혔고, 27일 김무성 대표는 경질론에 대해 “그런 주장 나올 만하지 않나”라며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내년 총선과 관련해 ‘여의도 복귀설’이 제기되고 있는 황 부총리 입장에서 ‘청천벽력’일 것으로 보인다. ‘명예퇴진’이냐 ‘경질’이냐에 따라 향후 황 부총리의 정치행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명예퇴진’ 가닥 잡은 황우여

황 부총리 입장에서는 당연히 남은 국정과제를 마감하고 ‘명예퇴진’하도록 방향을 잡고 있다.

27일 황 부총리는 서울 정부종합청사에서 국정교과서 관련 브리핑을 통해 “여러가지 힘든 일이 산적해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와 당은 힘을 모아서 올바른 교과서 제작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화 정책에도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경질논란과 관련 “교육부에 대해 우려의 시각이 많다. 여러 지적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더욱 매진하겠다”는 게 황 부총리의 입장이다.

황 부총리가 과연 자신에게 주어진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제대로 완수화고, 여의도에 복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