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 CGV가 좌석별 관람료를 세분화한 ‘좌석 차등제’를 도입한 것에 대해 “소비자 선택의 다양화가 아닌 가격인상 꼼수”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CGV 왕십리점.<사진='CJ CGV' 홈페이지>
[시사위크=조지윤 기자] CJ CGV가 좌석별 관람료를 세분화한 ‘좌석 차등제’를 도입한 것에 대해 “소비자 선택의 다양화가 아닌 가격인상 꼼수”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30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 3일부터 9일(7일간) CGV의 좌석별 예매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가격인상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5개 상영관·2개 영화에서 1주일간 1,000만원가량 추가수익이 발생했으며, 점유 좌석당 430원의 가격인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 ‘좌석 차등제’ 따른 추가 수익, 연 단위로 계산하면 상당할 것

CGV는 지난 3일부터 좌석별·시간대별로 관람료를 세분화해 시행하고 있다. 좌석은 세 단계로 구분해 ▲이코노미존은 기존 가격보다 1,000원 낮게 ▲스탠다드존은 기존 가격과 동일하게 ▲프라임존은 기존 가격보다 1,000원 높게 책정했다.

이에 대해 CGV 측은 소비자 선택을 다양화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으나, 좌석별 가격 차등제가 사실상 가격인상이라는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밝힌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존보다 프라임존 예약률이 훨씬 높아, 다수의 소비자가 가격인상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5개 극장(영등포·용산·강동·구로·왕십리)에서 상영된 영화 중 지난 3일 기준 예매율 1·2위인 2개 영화 ‘귀향’과 ‘주토피아’의 예매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코노미존의 관람료가 인하됐음에도 가격이 인상된 프라임존의 예약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특히 주말 예약률에서 이코노미존 좌석의 예약률은 5.3%~19.5%인 반면, 프라임존 좌석은 45.5%~60.3%로 나타나, 관람이 불편한 이코노미존을 기피하는 관객들의 특성상 ‘울며 겨자먹기’로 가격이 인상된 프라임존 좌석을 구매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CGV가 세분화한 좌석을 살펴보면 이코노미존은 관람이 불편한 앞좌석 2~3줄로 지정돼있고, 프라임존은 중앙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구성돼있다. 이에 대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소비자는 선택권 확대보다는 실질적인 가격인상으로 느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물가감시센터는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로 인한 가격인상 효과를 조사기간(3월 3일~9일)과 조사대상(5개 상영관·2개 영화)에 한정했다. 그 결과 조사기간 동안 이코노미존을 예약한 관객은 870명, 프라임존은 1만535명으로 조사됐고, 두 구역의 관객 수는 약 1만명의 차이가 존재했다.

이에 물가감시센터는 관람료 차등화에 따라 ‘1만명×1,000원=약 1,000만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며, 전체 관객 수로 나눠보면 점유 좌석당 약 430원의 가격인상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 <출처=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특히 조사기간이 1주일간에 그쳤던 것을 감안할 때, 이번 가격 차등제로 인한 CGV의 추가 수익은 연간 단위로 갈 경우 상당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CGV는 설득력 없고 소비자 혜택도 없는 좌석별 관람료 차등화가 아닌 매점가격 합리화를 포함한 서비스 개선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