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선참패에 대해 국민들께 사죄하는 새누리당 당선자들 <사진=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총선참패의 후폭풍에 휩싸인 새누리당이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총선을 통해 드러난 민심에 대한 해석이 중구난방인 탓이다. 민심이반에 대한 진단이 계파에 따라 다르니, 책임이나 해법도 모두 평행선을 걸을 수밖에 없다.

물론 26일 진행된 새누리당 당선자 대회의 분위기는 비교적 훈훈했다는 전언이다. 당의 단합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자리인 만큼, 함께 반성하고 나가야할 방향을 찾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대회를 주재한 원유철 원내대표는 모두 발언에서 “당 지도부로서 책임이 가장 큰 저부터 다시 한 번 진심을 담아 죄송하다는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회의의 방향을 정했다.

◇ 총선패배 원인, ‘아전인수’식 경제실패로 결론

총선 참패의 원인은 정부와 새누리당의 경제정책 실패 및 소통부족으로 모았다. 피부로 느끼는 바닥경제는 점점 어려운데, 정권 상층부에서는 국제신용평가사의 성적표를 언급하며 민심과 괴리된 판단을 해왔다는 것이다. 3선에 성공한 이종구 당선자는 “초이노믹스를 이야기 하고 무디스 같은 평가를 인용해 우리 경제가 올라가고 있다는데, 밑바닥에서는 전혀 그렇게 느끼지 않고 있다”고 민심을 전했다.

이처럼 총선결과를 경제실패에 대한 심판으로 해석할 경우, 장점은 두 가지다.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계파문제를 덮고 갈 수 있다는 점과 향후 당의 방향을 ‘경제활성화’나 ‘민생살리기’로 초점을 잡을 수 있다. 실제 당선자 대회를 마친 새누리당은 결의문을 통해 “경제를 살리는 민생국회 구현에 혼신의 노력을 다해간다”고 경제에 방점을 찍었다.

물론 경제사령탑을 맡았던 최경환 당선자에게 일부 ‘상처’가 있을 수 있지만 정치적으로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박근혜 대통령 역시 주요언론사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소통부족과 경기침체를 어느 정도 총선민심으로 수긍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세계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도 책임을 덜어주는 하나의 요인이다.

◇ ‘책임지는 사람은 없다’…계파갈등 애써 외면

▲ 총선참패에 대해 경제실패를 주 원인으로 진단했으나 물밑에서는 공천학살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계파갈등도 패배의 한 원인으로 주목되면서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는 김무성 전 대표나 최경환 의원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계파갈등의 민낯을 드러낸 공천문제를 유야무야 넘긴다는 점에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잠재돼 있다는 분석이다. 총선참패의 원인 중에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무시한 ‘공천학살’도 포함돼 있다는 것이 정치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특히 최장집 교수는 “유권자들은 여야 갈등, 보수와 진보 등의 대결이 아니라 민주적 컨센서스에 의해 정의돼야 한다는 것을 명령했다”며 “새누리당은 공천과정에서 정책 편의를 위해 당헌당규를 공공연하게 무시했다”고 새누리당의 패배원인은 분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계파갈등 문제를 수술대에 올리기 보다는 사실상 ‘외면’을 선택하면서, 물밑에서는 벌써부터 파열음이 나는 모양새다. 당선자 대회에서도 일부 의원들은 김무성 대표와 최경환 의원 등의 실명을 거론하며 문책성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김태흠 의원은 김무성 대표를 향해 “야반도주했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고, 권성동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일반의 생각과 좀 동떨어진 발언을 하는 바람에 눈살을 찌푸리는 일이 있었다”고 맞불을 놓기도 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패배를 했으면 중심에서 관여했던 사람들이 모든 책임을 지고 떠나는 것이 당연하다. 새누리당이 야권에 비해 특히 강점이 있던 부분이 정치적 책임론에 대한 맺고 끊음”이라며 “패배에 대한 책임문책이 끝나야 비로소 다음이 열리는데, 지금 상황은 계파갈등이라는 시한폭탄을 안고 가겠다는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