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컴즈의 자진 상장폐지가 추진되면서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뉴시스>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SK텔레콤의 ‘SK컴즈 완전 자회사 편입’ 결정을 놓고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선 SK컴즈의 상장폐지가 유력한 상황에서 소액주주 보호 등에 나섰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소액주주들 사이에선 SK텔레콤이 SK컴즈 인수 당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며 기대감만 주고선 사실상 방치했고, 주가가 떨어진 시점에서야 헐값에 주워 담는다는 비판도 나온다.

◇ SK텔레콤, SK컴즈 자회사 편입 결정… ‘소액주주 위한 것’

SK텔레콤은 SK컴즈와 지난 24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SK컴즈의 완전 자회사 편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SK컴즈 소액주주의 보유 지분 전량을 현금으로 교환해 준다는 방침이다. 1주당 가격은 2814원이며, 이에 반대하는 주주는 1주당 2956원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가능하다.

이에 일각에선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현재 SK컴즈는 4년 연속 적자로, 올해도 영업손실이 지속되면 내년 초 상장폐지 심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는 2008년에 회계연도 기준 5년 이상 영업손실을 기록할 경우 상장 폐지여부를 심사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유안타증권 최남곤 연구원은 “SK컴즈는 5년 연속 적자로 내년 상장폐지가 유력한 상황”이라며 “소액주주 및 SK그룹의 평판을 보호하고, 플랫폼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 일각에선 “대기업의 횡포” 반발

하지만 일부 소액주주들은 SK텔레콤의 이번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당초 기대를 모았던 사업협력은 진행되지 않았고, 주가가 떨어지자 완전자회사 편입에 나섰다는 것이다.

실제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 SK컴즈를 인수하면서 “SK컴즈는 그동안 유무선 인터넷 분야에서 콘텐츠, 커뮤니티, 커머스 등 '3C'의 역량과 노하우를 축적했다”며 “이를 활용해 SK텔레콤이 신성장동력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플랫폼 사업에서 사업적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SK텔레콤이 SK플래닛 등과 플랫폼 사업을 진행한 지난 1년간 SK컴즈는 어떤 역할도 맡지 못했고, SK텔레콤과 SK컴즈의 거래액 또한 점차 줄었다. 주가는 SK텔레콤 편입 직후 기대심리에 8000원대까지 치솟았지만, 현재 2900원대에 머물고 있다.

연속적자에 따른 상장폐지 위험에서 소액주주를 구제한다는 해석에도 문제가 제기된다. 회계년도 기준 5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포함되지만, 시장상황 및 개선계획서 평가를 통해 개선기간을 부여받을 수 있다.

특히 SK컴즈의 영업손실은 2012~2013년 400억원대에서 2014년 159억원, 지난해 89억원 규모로 점차 줄었다. 올해 3분기 기준 자본 총계는 1098억원, 부채총계는 300억원이다.

한 소액주주는 “매각이나 계열사 합병, 사업협력 또는 내년 상폐심사에서 향후 이행계획서만 제출해도 상장 유지 가능성이 보인다”며 “가장 악질적인 방법으로 결국 손쉽게 소액주주들의 지분만 빼앗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