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카카오톡을 통해 받았던 이른바 '가짜뉴스'를 취재진에게 공개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이른바 ‘가짜뉴스’가 우리 대선에서도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뉴스소비의 형태가 신문방송 등 언론보도의 비중이 줄고,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접하는 비중이 증가한 것과 무관치 않다.

이는 얼마 전 치러진 미국대선에서 확인히 드러났다. 2008년 미국 대선이 소셜미디어의 ‘파급력’을 확인한 선거였다면, 이번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가짜뉴스’의 악영향이 화두로 떠올랐다. <버즈피드>의 분석에 따르면, 대선 전 3개월간 가장 인기 있었던 가짜뉴스에 대한 반응이 주류언론의 대선기사에 대한 반응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프란체스코 교황이 트럼프 지지를 발표했다’거나 ‘FBI가 힐러리 클린턴을 기소할 것’ 등의 가짜뉴스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페이스북은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팩트체크’를 하는 방안을 도입했으나, 이 역시 긴급처방일 뿐 가짜뉴스를 가려낼 근본적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같은 ‘가짜뉴스’의 생산은 정치적 목적 외에도 금전적인 이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극적인 내용을 포함한 가짜뉴스를 올리고, 이를 통해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대선과 관련 없는 마케도니아에서 약 150여 개의 웹사이트들이 가짜뉴스를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의 각종 사이버 관련 범죄가 중국 등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 대선에서도 이 같은 일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이미 ‘가짜뉴스’는 국내 정치권에서 몇 차례 논란이 된 바 있다. ‘LCT사건에 문재인이 연루됐다’는 내용이나 ‘촛불집회의 배후는 북한’이라는 내용들이 그것이다. 이는 보수단체의 단체 카카오톡방 등을 통해 확대 재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SNS를 통해 전달된 가짜뉴스를 직접 소개하며 강경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유언비어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회 입법조사처는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 및 페이스북을 통한 뉴스공유는 필터링하기 어려워 가짜뉴스 문제는 언제든 제기될 수 있다”면서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가짜뉴스와 같은 거짓정보의 유통 및 영향력 확대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해야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