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결산법인의 정기 주주총회가 오는 17일 넥센타이어를 시작으로 시작된다. <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12월 결산법인의 정기 주주총회 시즌의 개막이 임박했다. 아직 주총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곳이 많으나 예년과 비슷하게 3월 중‧하순 금요일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주총에선 지배구조 개편 작업과 전자투표제 확산, 주주친화정책 등이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 17일 넥센타이어 시작으로 개막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사들은 17일 넥센타이어를 시작으로 줄줄이 정기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 넥센타이어는 2000년부터 17년 연속으로 정기 주총 ‘첫 스타트’를 끊어왔다. 이외에 이달 23일에는 보루네오가구, 28일에는 S&TC, S&T모티브, S&T중공업, S&T홀딩스, 미원화학 등이 주총을 개최한다.

본격적인 ‘주총 시즌’은 3월에 시작된다. 10일 포스코를 시작으로, 17일 네이버, 농심, 엔에스쇼핑, 현대글로비스 등 상장사가 정기 주총을 열기로 했다. 한꺼번에 주총이 몰리는 ‘슈퍼주총데이’는 넷째 주 금요일인 24일로 점쳐진다.

지난 10일까지 유가증권 상장사 67개 중 절반이 넘는 35개사가 24일에 주총을 소집한다고 공시했다. 엔씨소프트, LS네트웍스, E1, 한솔로지스틱스, 녹십자, 녹십자홀딩스, 대원제약, 만도, 삼양홀딩스, 신도리코, 쌍용양회 등이 이날 주총을 예고했다. 

▲ 주총 일정을 공시한 상장사 현황. <시사위크>
주요 대기업의 주총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3월 둘째 주나 셋째 주 금요일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의 경우 삼성‧현대차 등의 계열사는 둘째 주 금요일인 11일에, SK‧LG‧효성 등은 셋째 주 금요일인 18일에 실시한 바 있다.

올해 주총 시즌에선 ▲지배구조개편 ▲배당 등 주주친화정책 ▲전자투표제 도입 ▲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여부 등이 주요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지배구조개편에선 삼성과 롯데의 ‘지주사 전환’ 이슈가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엘리엇의 지주사 전환을 위한 인적 분할 요구에 대해 “향후 6개월간 검토하겠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에 이번 주총에서 인적분할 등 지배구조개편 안건이 상정될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으나 불투명하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 등의 악재로 진통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지배구조개편 이슈까지 속도를 내기에는 부담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롯데의 지주사 체제 전환이 속도를 낼지도 주목된다. 롯데쇼핑, 롯데칠성, 롯데제과, 롯데푸드 등 4개 계열사는 지난달 “순환출자 해소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분할, 합병, 분할합병 등을 비롯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을 위한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지배구조개편ㆍ소액주주 권리 강화 화두

▲ 삼성전자의 올해 주총에서 지배구조개편 이슈가 주목을 끌 전망이다. <뉴시스>
주주친화정책 확산도 주요 화두거리다.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자사주 매입과 배당 확대 등에 대한 기관투자자들의 압력은 커지고 있다.  

또 다른 관전포인트는 전자투표제 도입 확산이다.

전자투표제는 주주가 주주총회장까지 찾아가지 않아도 인터넷 전자투표시스템에 접속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다.

그간 기업들은 전자투표제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으나, 최근 정치권에서 ‘전자투표제’를 의무화하는 입법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가 강화될지도 주목을 끌 전망이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은 주총에서 거수기 노릇만 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면서 ‘의결권 강화 문제’는 매년 논쟁거리가 돼왔다. 최근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인 스튜어드십 코드가 도입됐으나 현재까지는 큰 반향을 일으키진 못하고 있다.

주총의 단골 이슈인 ‘사외이사 낙하산 논란’이 재현될지도 주목된다. 매년 주총에서는 정치권과 관료, 법조계 출신들의 사외이사 영입을 놓고 논란이 일어왔다. 전문성에 의문부호를 달고 있는 이들의 경우 ‘낙하산’ 혹은 ‘방패막이’라는 구설수를 피하지 못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