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6일부터 7일까지 시진핑 중국 주석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플로리다 마라라고에서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 AP=뉴시스>
[시사위크=정상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6일부터 7일까지 플로리다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개성강한 두 지도자의 첫 만남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수밖에 없어 우리 정치권과 외교가에서도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그간 미국과 중국은 통상, 북한 핵, 남중국해 등 현안에서 강경대치를 이어온 바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중산층 붕괴의 원인을 중국과의 자유무역으로 돌리기도 했다. 또한 북한 핵문제에 있어서도 중국이 다소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판단, 보다 강한 대북제재를 요구하는 입장이다.

이 같은 입장을 반영해 미국 하원은 지난달 21일 강경 대북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대북 차단 및 제재 현대화법’을 발의했다. 법안에 따르면, 사실상 북한에 대한 금수조치에 가까운 제재가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이 법안의 목적에 대해 국회 입법조사처는 “중국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의 전면적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를 명확하게 하려는 것”으로 풀이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대중국 경제압박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중국은 ‘대화’를 강조하며 미국역할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실험에는 반대하지만, 북한사회의 붕괴는 바라지 않는 것이 중국의 입장이기 때문이다. 중국 측은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다만 강경대치를 이어가는 것이 중국과 미국 양측 정부에 부담이라는 점에서 출구전략을 찾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의 파워게임으로 국제사회의 불안감이 지속되는 것 보다는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모습을 연출하는 게 양국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북한은 5일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력시위를 벌인 것이라는 게 공통적인 분석이다. 김정은 정권이 핵개발을 단순 ‘외교용’이 아닌, 정권보호를 위한 ‘생존용’으로 전환하면서, 미국이 대북 적대정책을 폐기하지 않는 한 핵개발을 지속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