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 중소기업 4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실태와 개선과제’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제화 추진의 걸림돌로 ‘시장정보 부족’(35.3%), ‘전문인력 부족’(20.9%), ‘자금 부족’(17.1%), ‘현지 법·제도 규제’(15.4%) 등 4가지를 차례로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중소기업이 제품자체 경쟁력은 갖추고 있으나 그 밖의 여건 미비로 국제화에 어려움을 겪는 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대한상의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제 중소기업 A사는 태양광에너지 부품업체로 해외거래처를 늘리고 싶지만 해당 품목에 대한 시장정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품산업 특성상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완제품 업체는 물론 2·3차 부품업체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데 관련 정보가 부족해 해외바이어와의 접촉이 쉽지 않은 까닭이다.
 
이처럼 응답기업 가운데 그동안 국제화 활동을 추진하지 않은 중소기업은 그 이유로 ‘내수위주사업으로 국제화에 별로 관심이 부족했다’(45.1%)를 가장 많이 꼽았으나, ‘하고 싶지만 정보, 자금,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39.7%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그런가하면 반도체 LCD 제조업체인 중소기업 B사는 지난해 5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건실한 중소기업이다. 매출이 전부 국내시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시장확대를 위해 해외진출을 고려하고 있지만 해외바이어와 접촉할 경로가 없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해외시장 정보제공 등 지원정책이 강화된다면 더 많은 중소기업이 국제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에서 향후 국제화 추진계획에 대해서 중소기업의 78.4%가 ‘현재 계획을 수립중이거나 앞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은 국제화 유형으로 ‘수출’(95.1%)을 가장 높게 꼽았으며, ‘해외투자’(6.9%),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4.4%), ‘국내합작투자’(3.0%) 순이었다.

또한 국제화를 추진한 이유로는 응답업체의 54.8%가 ‘제품·서비스 시장 확대’라고 답했으며, ‘국내시장 포화로 경쟁 회피’도 24.8%를 차지해 내수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해외시장개척의 중요한 동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제화 대상지역으로는 ‘유럽’(20.0%), ‘미국’(19.3%), ‘중국’·‘아세안’(16.8%), ‘일본’(10.5%) 등으로 나타나 ‘유럽’이 국제화 활동을 위한 관심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재 국제화 활동이 없는 중소기업은 향후 국제화를 추진할 지역으로 ‘중국’(28.2%), ‘미국’(18.5%), ‘아세안’(16.0%), ‘유럽’(14.4%), ‘일본’(10.5%) 순으로 응답했다.

국제화와 관련된 자사의 경쟁력에 대해 응답업체의 44.6%가 ‘기술 경쟁력’을 가장 많이 갖추고 있다고 답했으며, ‘품질·디자인 경쟁력’(25.9%), ‘가격 경쟁력’(22.3%), ‘마케팅 경쟁력’(4.1%), ‘국내외 네트워크 경쟁력’(3.1%) 순으로 이어졌다.

국제화를 위한 정부지원제도 이용여부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과반수가 넘는 56.7%가 ‘이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반면, ‘이용한 적이 있다’는 업체는 43.3%로 조사됐다.

정부지원제도 가운데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마케팅지원·정보제공 등 시장접근(43.2%)’을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자금·보증·보험 등 금융지원’(29.5%), ‘교육·컨설팅지원 등 역량제고’(14.8%) 순이었다.

반면 정부지원제도를 이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이유로 ‘정부지원제도가 있는 지 잘 몰랐다’가 60.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지원요건이 까다롭고 이용절차가 복잡하다’(29.6%), ‘지원대상이 아니다’(9.5%) 등이 뒤를 이었다.

앞으로 강화되어야 할 국제화 관련 정부지원제도에 대해 중소기업의 37.5%가 ‘자금·보증·보험 등 금융지원’을 가장 시급한 분야로 꼽았으며, 이어 ‘마케팅지원·정보제공 등 시장접근’(29.2%) 등이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한-미, 한-EU FTA 체결 등으로 우리의 경제영토가 넓어지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이제 국내 중소기업도 더 이상 내수시장에만 의존하기는 어렵다”면서 “중소기업은 스스로 국제화 역량을 배양하는 데 힘쓰는 한편 정부도 해외마케팅과 기술을 통합·연계한 패키지 지원을 통해 R&D역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