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전 경남도지사가 자유한국당 대선후보였던 지난 4월 11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아트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 핵심선거대책위 전체회의에서 정우택 원내대표, 선대위원들과 손을 맞잡고 필승을 다짐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최영훈 기자] 자유한국당이 오는 7월 3일 전체당원대표자대회를 앞두고 당 쇄신안 마련 차원에서 토론회와 연찬회를 연이어 개최할 방침인 가운데 ‘당권경쟁’이 점차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당은 오는 30일, 대선 후유증 극복 차원에서 토론회를 열고 대선 패배 원인 분석과 혁신 방안을 모색한다. 이어 내달 1~2일 당 소속 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이 함께하는 연찬회도 열어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불거진 ‘집단지도체제 부활’에 대한 갈등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집단지도체제 부활은 당내 친박근혜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주장하는 것으로 “현행 단일지도체제로는 최고위원들의 역할이 한정적이고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유기준 의원은 “대표 출마 하는 분들 중에 당선이 되는 사람은 대표가 되고 아닌 사람은 낙선해 당을 위해 헌실할 방법이 없다”며 “선거에서 1등한 사람이 당대표가 되고 다른 분들은 최고위원으로서 남아 있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한국당은 지난 2004년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시절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집단지도체제 도입 이후 대표 최고위원을 포함한 9명의 최고위원이 각자의 지분을 갖고 목소리를 내다 보니 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었던 경우가 종종 나타났다.

특히 최고위에서 각자 지분을 가진 최고위원들이 제각각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두고 일각에선 최고위가 '봉숭아 학당'으로 전락했다는 비아냥마저 나왔다. 이에 지난해 12월 당시 새누리당은 “집단 지도체제 하에서 합의적 운영의 한계점이 노출됐고 당 혼선과 마비를 불러와 당 대표에게 새로운 리더십을 부여한다”면서 단일지도체제 도입 방침을 결정했다.

친박계의 집단지도체제 회귀 주장에 대해 당시 단일지도체제 도입을 주도한 정진석 전 원내대표는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수적 우위로 다수 계파에 유리한 것으로 되돌리자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뽑아 국민들 뿐만 아니라 초재선 의원들도 지도부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전했다.

◇ ‘홍준표 당권도전’에 반발하는 친박…내부 갈등 폭발 예고

한국당이 대선 패배 이후 당 재건 방안 모색 차원에서 토론회와 연찬회를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홍준표 백의종군론’이 주요 의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당 대선후보가 대선패배 후 일정 기간 당직에 도전하거나 정치 사안에 대한 발언을 자제한 전례를 대선후보였던 홍준표 전 경남도지사도 지켜야 한다는 게 골자이다. 일부 친박계 의원들 역시 홍 전 지사가 대선운동 당시 당대표 도전과 관련 “더는 추하게 당권에 매달리는 짓을 하지 않는다”고 발언한 것을 근거로 당대표 출마에 부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홍 전 지사가 당권 도전과 관련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고, 초선 의원과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홍준표 추대론이 일고 있어 친박계와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와 관련 초재선 의원 일부와 탈당파 의원들은 ‘홍준표 추대론’을 들고 나와 친박계가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통해 재집권 하려는 시도에 반발하고 있다.

홍 전 지사 역시 대선 패배 후 미국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SNS를 통해 각종 정치 사안에 대해 견해를 밝히면서 당권 도전을 시사하기도 했다. 특히 홍 전 지사는 지난 24일 자신의 SNS에 “자유대한민국의 가치를 다시 세운다는 일념으로 다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홍준표 백의종군론’이 당 재건 방안 중 하나로 제안될 경우 당내 홍준표 지지파들이 크게 반발할 전망이다. 특히 초선 의원들이 지난 16일 한국당 의원총회에서 “계파패권주의와 선수 우선주의를 배격하고 인재를 능력따라 등용하라”는 내용의 공개 성명으로 친박계 재집권에 거부 의사를 표시한만큼 당권을 둘러싼 당내 갈등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