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미정 기자] 그야말로 감감무소식이다. SGI서울보증보험 사장 인선이 6개월째 첫발조차 떼지 못하고 있다.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절차가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정부는 다른 인선을 하느라 바쁜지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있다. 이 정도면 ‘홀대론’이 나오는 것도 과언이 아닌 모양새다.

서울보증보험은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4%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다. 법적으로는 민간 기업이지만 공적 자금을 투입 받은 탓에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여있다. 이 때문에 사장 인선조차도 금융당국이나 정부의 눈치를 봐야 하는 처지인데, 서울보증보험은 정권 교체라는 변수를 감안해 인선을 미뤄왔다.

문제는 새 정부가 출범하고도 벌써 4개월이 지났지만 감감무소식이라는 점이다. 다른 주요 인선을 하느라 바쁜 탓에 정부의 관심에서 후순위로 밀린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장 인선이 마무리된 지도 두 달이 흘렀지만 사정은 마찬가지다. 곧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만이 몇 달째 허공을 맴돌고 있다. 최근에야 하마평만이 솔솔 피어올랐을 뿐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조직의 사기와 사업 추진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당연지사다. 서울보증보험은 김상택 전무를 일시 대표이사로 선임해 경영 공백을 메우고 있다. 상법상 대표이사와 권한이 차이가 없다지만 굵직한 경영 계획을 짜거나 주요 의사 결정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잦은 사장 교체로 피로감이 높은 직원들 입장에서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올만하다. 서울보증보험의 직전 사장 2명 모두 취임 1여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게다가 사장으로는 주로 관료 출신들이 선임되면서 낙하산 논란도 빈번했다.

서울보증보험은 서민과 기업의 경제생활에 필요한 보증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보증회사다. 2015년 기준 보증 잔액만 242조원에 달하는 국내 최대, 세계 4위 보증회사다. 또한 과거 12조원의 공적 자금이 투입된 곳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투입된 공적자금 중 회수율은 34%에 불과하다. 이에 경영자의 역할도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사장 공백을 하루 빨리 메워야 한다. 지금 서두른다고 해도 인선 절차만 두달여의 기간이 걸린다.

서울보증보험은 정부의 시그널이 떨어지길 눈치만 살피고 있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정부 차원에서도 계속 손 놓고 있으면 안 될 것이다. 다만 인선 과정에 불필요한 입김을 넣거나 전문성이 떨어지는 관피아를 꽂아 넣는 전횡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