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가 13년째 시행중인 포인트 제도인 '콤프'를 이용한 불법환전이 여전히 횡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명 '콤프깡'을 통해 마련된 현금의 대부분은 다시 도박자금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강원랜드는 물론 지자체와 관계당국의 엄격한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사진은 강원도 정선의 강원랜드 전경. <뉴시스>

[시사위크=범찬희 기자] 강원랜드의 포인트 적립 제도 ‘콤프’의 부작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포인트를 이용한 불법현금거래, 일명 ‘콤프깡’이 악용돼 도박자금으로 재사용되고 있는 반면, 콤프의 순기능인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서울에선 '상품권깡', 강원에서는 '콤프깡'?

‘콤프’(무료를 뜻하는 영어 complimentary의 줄임말)는 강원랜드가 이용객들에 지급하는 포인트 제도다. 2004년부터 강원랜드는 카지노 게임을 한 고객에게 실적에 따라 일정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누적된 포인트는 현금처럼 이용이 가능하다. 강원랜드 리조트의 부대시설에서는 물론 인근 콤프 가맹점에서도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래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객편의를 목적으로 도입된 콤프지만, 이를 악용하는 일이 근절되지 않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금과 같은 기능을 하다 보니 속칭 ‘깡’이라 불리는 불법거래가 횡행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러 100만 포인트가 적립돼 있다면, 현금이 급한 매도자가 그 절반인 50만원만 받고 매수자에게 파는 식이다.

이 같은 음성적 행위는 도박중독자를 양산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콤프를 현금화하려는 매도자 대부분이 도박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콤프깡을 시도하고 있어서다. 업계에 따르면 콤프의 연간 발행액 1,200억원 가운데 30% 가량이 현금거래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깡으로 현금화 된 360억원의 상당 부분이 도박자금으로 재사용됐을 것이란 분석이다.

콤프깡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이미 10여년 전부터 정치권과 지역 사회에서 제기된 해묵은 일이다. 그때마다 강원랜드는 단속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약속을 내놨지만, 공염불에 그친 모양새다. 콤프 도입 13년이 지난 오늘날 까지도 콤프깡을 하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것으로 알려지기 때문이다.

◇ 지역경제는 뒷전… 주객이 전도된 포인트 제도

2일 콤프깡의 실태를 다룬 <TV조선> 방송에 등장한 한 업자는 콤프 매입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금액이) 많으면 30%, 50%가 최고 가격가”라고 답했다. 취재가 이뤄진 장소는 강원랜드 인근에서 대출을 전문으로 하는 업소로, 가게 유리 벽면에는 버젓이 ‘콤프매입’이라는 문구를 내걸고 있었다. 서울 등 대도시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상품권깡의 기능을 콤프깡이 대신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콤프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본래 제도가 도입된 목적인 지역경제 활성화는 뒷전으로 밀려난 상황이다. 콤프는 강원랜드가 위치한 강원도 정선을 포함해 태백, 삼척, 영월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폐광지역인 4개 지역에 위치한 1,174개 가맹점에서 식사나 숙박, 각종 생필품을 구매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맹점에서 사용되는 연간 콤프 금액은 200억원 가량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연간 발행되는 전체 포인트의 16%에 불과한 수치다.

앞서 언급한대로 포인트의 대부분은 현금화 되거나, 리조트 시설 내부(500억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지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해 강원랜드 측의 입장을 듣고자 노력을 기울였으나 관계자와 연락이 닿지 않았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