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내가 죽던 날’(감독 박지완)이 오는 12일 관객과 만난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영화 ‘내가 죽던 날’(감독 박지완)이 오는 12일 관객과 만난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그리고 삶은 다시 시작됐다.” 태풍이 몰아치던 밤, 외딴섬 절벽 끝에서 유서 한 장만을 남긴 채 소녀가 사라진다. 오랜 공백 이후 복직을 앞둔 형사 현수(김혜수 분)는 범죄 사건의 주요 증인이었던 소녀 세진(노정의 분)의 실종을 자살로 종결짓기 위해 그곳으로 향한다.

소녀의 보호를 담당하던 전직 형사, 연락이 두절된 가족, 그리고 소녀를 마지막으로 목격한 마을 주민 순천댁(이정은 분)을 만나 그녀의 행적을 추적해 나가던 현수는 소녀가 홀로 감내했을 고통에 가슴 아파한다. 수사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모습과 닮아있는 소녀에게 점점 더 몰두하게 된 현수는 사건 이면에 감춰진 진실 앞에 한걸음 다가서게 된다.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유서 한 장만 남긴 채 절벽 끝으로 사라진 소녀와 삶의 벼랑 끝에서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 그리고 그들에게 손을 내민 무언의 목격자까지 살아남기 위한 그들 각자의 선택을 그린 이야기로, 단편영화 ‘여고생이다’로 제10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박지완 감독의 장편 영화 데뷔작이다.

‘내가 죽던 날’에서 열연한 김혜수(왼쪽)과 노정의(오른쪽 위), 이정은 스틸컷. /워너브러더스코리아
‘내가 죽던 날’에서 열연한 김혜수(왼쪽)과 노정의(오른쪽 위), 이정은 스틸컷. /워너브러더스코리아

미스터리 스릴러의 표피를 둘렀지만 ‘내가 죽던 날’은 절망에 빠진 이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하는 따뜻한 휴먼 드라마다. 각자 삶의 벼랑 끝에 선 여성들의 보이지 않는 연대를 세밀하고 깊이 있게 담아내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것은 물론,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며 다시 살아갈 수 있는 용기를 선물한다.

영화는 주인공 현수의 시선을 담담하게 따라가는데, 탐문수사 형식의 흥미로운 구조로 극에 빠져들게 만든다. 현수는 범죄 사건의 주요 증인으로 채택돼 섬마을에서 보호를 받던 소녀 세진이 사라진 뒤 사건을 담당한 전직 형사, 연락이 두절된 가족, 그녀가 머물렀던 마을의 주민들을 차례로 만나며 세진이 사라진 이유를 되짚어본다. 

죽음의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현수는 삶의 이유를 찾아간다. 사건 이면을 파헤치며 누군가의 손길이 절실하게 필요했을 세진 그리고 자신과 마주하게 되고, 지금의 몸부림이 죽고자 함이 아닌 살기 위함이었음을 고백한다. 이들에게 손을 내민 건 무언의 목격자 순천댁이다. “네가 널 구해야지. 인생이 생각보다 훨씬 길어.” 어쩌면 자신을 위한 삶은 단 한순간도 없었을지도 모를 그의 작지만 위대한 손길은 이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다.

이정은(왼쪽)과 김혜수의 만남은 옳았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이정은(왼쪽)과 김혜수의 만남은 옳았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김혜수와 이정은은 압도적인 시너지로 스크린을 장악한다. 먼저 김혜수는 처음부터 끝까지 묵직하게 극을 끌고 나간다. 진실을 파헤치는 형사의 집요함은 물론, 일상이 무너져버린 인물의 복잡한 심경을 섬세하게 표현해낸다. 피폐하고 초췌하던 현수의 얼굴이 조금씩 변해가는 모습까지 완벽하게 담아내 감탄을 자아낸다.

이정은도 두말할 것 없다. 사고로 목소리를 잃은 섬마을 주민 순천댁으로 분한 그는 미스터리한 분위기로 극에 긴장감을 더하는 것은 물론, 목소리 없이 몸짓과 표정만으로 모든 감정을 전달하며 묵직한 울림을 안긴다. 현수와 순천댁이 함께 한 모든 장면에서 두 배우의 진정성이 고스란히 느껴져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다. 한 장면 한 장면 다 주옥같다.

박지완 감독은 “주인공들이 각자 힘든 일을 겪고 절망에 빠진 상황이지만 뭐라도 해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사람들을 그리고 싶었다”며 “아무 상관 없는 타인의 삶이 내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나의 삶이 누군가에게 변화를 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공감할 수 있길 바란다”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러닝타임 116분, 12일 개봉.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