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5G 통신속도가 LTE보다 약 4.5배 빠르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다수의 이용자들은 실제 체감속도와 괴리감이 크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5G 이용 시 자주 끊길 뿐 아니라, 실제 체감속도에서도 LTE와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5G 속도는 어느 정도 수준일까. <시사위크>는 3일간 서울시 주요 지역 49곳을 돌면서 5G 속도를 직접 측정해 봤다. [편집자주]

지난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시사위크>에서는 서울시 49곳의 5G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5G평균 속도는 483.67Mbps로 나타났다. 이는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했던 690.47Mbps보다 약 30% 가량 느린 수치다./ 사진=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는 지난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자체적으로 서울특별시 49곳을 방문해 5G속도를 직접 측정했다. 그 결과, 5G의 속도는 평균 483.67Mbps로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했던 690.47Mbps보다 약 30% 가량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5G기지국 숫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8월 기준에 비해서도 약 28% 가량 느렸다. 

여기서 Mbps란 ‘1초당 전송 가능한 메가비트(bit)의 데이터 양’을 의미한다. 100Mbps의 통신 속도라면, 1초당 100M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를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단위인 MB(메가바이트)로 환산하면 100Mbps의 속도를 가지는 통신망은 1초당 약 11M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과기정통부와 통신사처럼 전문적인 장비를 이용해 측정한 데이터가 아니므로 기자가 진행한 5G속도 측정 결과가 완전히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5G 체감속도가 과기정통부 발표보다 더 느리다는 이용자들의 주장이 단순한 의심이 아닌 것만은 분명했다. 그렇다면 이처럼 이용자들의 체감속도와 과기정통부의 측정 속도 차이가 큰 이유는 무엇일까.

◇ 과기정통부·통신사, “5G속도 측정은 장소 등에 따른 변수 많아”

해당 의문에 대해 5G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와 5G속도를 직접 측정했던 과기정통부 측에 문의한 결과, “장애물 등 장소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가 무선통신망 속도 측정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답변을 얻었다. 5G의 경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데, 이때 통신망을 연결할 때 발생하는 전파가 자동차나 건물 등 다양한 장애물들에 부딪히거나 반사돼 순간적으로 낮은 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무선 통신 같은 경우 기술특성상 시간대나 장소가 조금만 달라져도 편차가 크게 나타나기도 한다”며 “극단적으로는 한걸음을 걷거나 몸을 좀 틀어도 신호 강도나 속도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때문에 과기정통부에서는 최대한 편차를 줄이기 위해 5G속도 측정 시 한 장소에서의 고정점이 아닌 이동점으로 측정을 진행했다”며 “예를 들어 서대문구 연희동이라고 하면 연희동을 차로 돌아다니면서 50회 이상을 측정한 후 평균을 내 연희동의 5G속도라고 발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측정 당시 이용자들이 얼마나 많은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과기정통부 측 설명이다. 예를 들어 측정 당시 실시간으로 높은 용량의 영상을 보고 있는 사람이 많으면 속도가 낮게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사 관계자 역시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5G 무선통신환경이라는 것은 유선통신환경과는 달리 다양한 변수 요소들이 존재한다”며 “이용자 위치, 안테나 위치, 사용자 숫자 등 변수들 때문에 5G측정 시 속도에 편차가 있지 않았나 싶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에 같은 지역이라고 해도 100명 1,000명이 쓰다가 사람이 없는 경우 속도가 잘 나올 수 있다”며 “무선국이 있더라도 인파가 몰리게 되면 떨어질 수 있는데, 월드컵 등 축제시 통신사가 임시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덧붙였다.

5G의 체감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이유 중 하나는 장소별로 속도 편차가 매우 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 코엑스 앞에선 818Mbps로 평균 속도보다 훨씬 빨랐으나, 동대문 종합시장 내부에서는 21.6Mbps로 매우 느리게 측정됐다./ 그래픽=박설민 기자

◇ 상용화 3년차인데 5G기지국은 전체 10%도 안돼… “가용률 현저히 떨어져”

결국 과기정통부와 통신사 관계자들의 입장을 종합해보면 5G는 유선통신보다 편리하긴 하지만 안정성 면에선 떨어지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는 만큼, 외부 변수 요인에 따라 속도 편차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장소에 따른 속도 편차는 이용자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영국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 이안포그 연구원도 지난달 25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전체 인구의 90% 이상이 5G서비스가 가능한 커버리지 지역 안에서 거주하고 있으나, 5G유지 시간 비율인 ‘5G가용성’ 때문에 품질 개선에 대한 체감을 크게 하진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5G서비스가 일단 잡히긴 하지만 지속해서 5G를 유지하지 못하고 LTE로 전환되는 횟수가 잦아 이용자들이 5G가 느리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픈시그널 측이 지난 1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국내 통신3사의 5G가용률은 평균 24%에 불과했다. 이용자가 1시간 동안 5G를 사용할 경우, 14분24초 동안만 5G를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안포그 연구원은 “5G속도 측정은 실외와 실내 모두에서 이뤄지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집이나 직장에서 실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므로 5G 가용성은 실내 경험에 민감한 경향이 있다”며 “특히 한국에서는 사용자가 방문하는 실내 위치의 절반 이상에서 5G 도달 점수는 실외의 25% 수준이었는데, 이는 실내에서 중대역 5G신호를 수신하는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때문에 통신 분야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좀 더 많은 숫자의 5G기지국을 확충해 속도 저하 변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통신사들의 5G기지국 구축 속도는 급증하는 숫자에 비해 영 시원치 않다는 것은 다소 아쉬운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1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발표한 이동통신 무선국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전체 이동통신 기지국은 148만427개다. 이중 LTE기지국 숫자가 97만1,258만개로 전체 65.6%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5G기지국 숫자의 경우 14만1,939개로 전체 9.6%에 불과했다. 이는 30만9,311개로 전체 기지국 숫자의 20.9% 차지한 3G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숫자다. 반면 가입자 수의 경우 올해 1월 기준 5G는 1,287만명으로 1,300만명을 목전에 두고 있으나, 3G는 547만1,114명으로 5G의 40% 수준이다. 

상용화 3년차에 접어든 5G는 이제 각종 관련 서비스들을 기반으로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5G는 여전히 ‘답답한’ 상태다. 이제 단순히 ‘변수 탓’이라고만 하기엔 시간이 지난 만큼, 통신사와 과기정통부가 5G기지국 확충에 좀 더 속도를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