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압델 파타 알 시시 대통령이 20일 이집트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압델 파타 알 시시 대통령이 20일 이집트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사실상 마지막 해외 순방인 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등 3개국 6박 8일 일정을 모두 마무리했다. 그러나 ‘경제 외교’를 중점으로 둔 이번 순방은 유달리 악재가 돋보였다. 

◇ 정상회담 불발·드론 테러 등 순탄치 않았던 순방

우선 이번 순방에선 정상회담 일정이 변경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지난 17일로 예정됐던 문 대통령과 UAE의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제의 정상회담은 전날 급작스럽게 취소됐다. UAE 측은 ‘unforeseen and urgent matter of state’(뜻밖의 긴급한 상황)이라고 사유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 역시 “예기지 못한 불가피한 사유인 것 같다”고 전했다. 

청와대에서 정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UAE의 실권자인 모하메드 왕세제와의 회담 불발은 아부다비에 예멘 후티 반군의 드론 테러 때문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아부다비 국제공항 내 신축 건설현장과 아부다비석유공사(ADNOC) 원유 시설에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 9명의 사상자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후티 반군의 공격이 예상된 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청와대는 이런 상황을 알면서도 회담을 추진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또 문 대통령의 이번 이집트 방문에서 한국의 독자기술 자주포인 K9 수출이 최종 타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한·이집트 정상회담까지 최종 타결이 이뤄지지 않아 아쉬움을 낳았다. 문 대통령도 20일 오전 카이로 대통령 궁에서 열린 압델 파타 알 시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공동언론발표에서 “최종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최종 계약 단계까지 이를 만큼 구체적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는 의미다. 

◇ 오미크론·북한 악재에도 경제외교 주력

국내 상황도 녹록치 않았다. 이번 순방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출발 전부터 우려가 나온 바 있다. 특히 오미크론 국내 유입 이후 대통령 순방 자체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결국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 국내 오미크론 변이의 우세종은 기정사실화 됐다며 “정부는 그동안 준비해 온 오미크론 대응체제로 신속히 전환하고 총리 중심으로 범부처가 총력 대응하라”고 현지에서 지시할 수밖에 없었다. 

북한도 문 대통령의 마지막 순방에 근심거리를 안겨줬다. 북한은 지난 17일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신형 전술 탄도미사일인 ‘북한판 에이태큼스(KN-24)’를 발사했다. 또 20일에는 그동안 멈춰왔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재개를 시사했다. 

문 대통령은 탄도미사일 발사 당시 두바이 현지에서 서훈 국가안보실장에게 상황 보고를 받고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또 북한이 2018년 동결한 핵·미사일 개발 재개를 선언한 당일 이집트 공영신문 ‘알-하르람’과 진행한 서면인터뷰에서 “현 상황을 봤을 때 한반도 평화구축은 쉽지 않아 보인다”고 밝히기도 했다. 해당 인터뷰는 순방 전에 이뤄졌으나, 최근 긴장이 고조되는 한반도 상황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경제 외교에 주력했다. 첫 방문국인 UAE에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궁Ⅱ(M-SAM2) 수출 계약을 최종 확정지었다. 계약 규모는 4조원대로, 우리 방산 수출 사상 단일품목으로는 최대로 평가된다.

또 UAE, 사우디 등과 수소 경제를 위한 협력 강화에 주력했다. 또 걸프협력회의(GCC), 이집트와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재개·추진 역시 이번 순방의 성과로 꼽힌다. 이번 순방을 통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홍보를 나선 것 역시 경제 외교의 일환으로 꼽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