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변요한이 영화 ‘한산: 용의 출현’(감독 김한민)으로 관객 앞에 섰다. /롯데엔터테인먼트
배우 변요한이 영화 ‘한산: 용의 출현’(감독 김한민)으로 관객 앞에 섰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배우 변요한이 또 한 번 큰 도전을 마쳤다. 영화 ‘한산: 용의 출현’(감독 김한민)에서 왜군 수군 최고사령관 와키자카로 분해 100% 일본어 대사로 캐릭터를 완벽 소화한 것은 물론, 그동안 보지 못한 서늘한 존재감을 보여주며 극의 긴장감을 이끈다.  

지난달 27일 개봉해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한산: 용의 출현’은 명량해전 5년 전, 진군 중인 왜군을 상대로 조선을 지키기 위해 필사의 전략과 패기로 뭉친 이순신 장군과 조선 수군의 ‘한산해전’을 그린 전쟁 액션 대작이다. 

2017년 1,761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역대 박스오피스 대기록을 수립한 ‘명량’에 이은 김한민 감독의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 두 번째 작품으로, 세계 역사상 손꼽히는 해전이자 임진왜란 7년 동안 가장 큰 승리를 거둔 최초의 전투 ‘한산해전’을 스크린에 실감 나게 구현해 호평을 얻고 있다. 

극 중 변요한은 왜군 장수 와키자카로 분했다. 와키자카는 해상과 육지 전투에 모두 능한 천재 지략가로, 전쟁에서의 승리를 위해서라면 무엇도 마다하지 않는 대담함과 잔혹함, 탁월한 지략까지 갖춘 인물이다. 모두가 두려워하는 이순신과의 전쟁에서도 전혀 흔들리지 않는 냉철한 모습으로 조선군을 위기에 몰아넣는다.

필모그래피 사상 가장 강렬한 안타고니스트에 도전한 변요한은 압도적 카리스마를 발산하며 극에 팽팽한 긴장감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상과 육지 전투에 모두 능한 지략가로서의 면모는 물론, 승리를 향한 집착과 배포, 잔혹함을 두루 갖춘 와키자카의 면면을 빈틈없이 소화해냈다는 평이다. 

최근 <시사위크>와 만난 변요한은 “멋지게 작품이 완성돼 기분이 좋다”면서 ‘한산: 용의 출현’을 향한 자신감과 함께, “굉장히 치열하게 준비했기 때문에 유독 기억에 남는 작품”이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또 이 작품을 통해 ‘자긍심’을 느꼈다며 “앞으로 살아가는 방식도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고 전해 이목을 끌었다. 

매 작품 진정성 있는 열연을 보여주고 있는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매 작품 진정성 있는 열연을 보여주고 있는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완성된 작품은 어떻게 봤나. 
“영화가 멋지게 나와서 기분이 좋다. 많은 관객들이 봐주셨으면 좋겠다. 이 작품은 2년 전에 촬영했는데 굉장히 치열하게 준비했기 때문에 기억이 안날 수 없다. 사진만 봐도 ‘이날 내 컨디션은 그랬지, 이랬지’ 그런 생각이 난다. 유독 이번 작품은 기억에 많이 남는다.”

-왜군 장수를 연기해야 했다. 캐릭터 구축 과정은. 
“7년 전(‘명량’ 개봉 당시)에는 이순신 장군님에 대해 이야기하고 광화문 가면 인사도 드리고 했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흘렀고 사건도 많았다. 그러면서 망각했는데, 그 마음을 다시 찾자는 생각이 들었다. 난중일기로 시작했다. 감독님에게 역사 수업을 오래 받았고, 여러 자료를 찾아보기도 했다. 그런데 막상 연기에 들어가려고 하니 이순신 장군을 너무 생각하면 와키자카 역할을 못할 것 같은 거다. 이거 아니다. 그래서 ‘와키자카기(협판기)’를 읽었고 자료를 찾아봤다. 내가 어떤 감정으로 가야 할지, 어떤 길인지 알겠더라. 

언어를 준비하는데 시간을 많이 들이긴 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이었다. 나는 한국 사람이기 때문에 최소한 장수로서의 애티튜드와 작품에서 필요한 포지션만 찾으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감독님이 추구한 것은 정통연기였다. 다른 어떤 것 없이 그냥 에너지로만 하길 바랐다. 와키자카라는 인물을 이해하는 게 필요했다. 필요조건을 다 충족시키려고 했다. 어떤 인물인지 이해하고 채워나가야 툭 치면 대사가 나오고 필요한 감정이 나올 수 있게 노력했다.”

-단순한 빌런이 아닌, 안타고니스트를 만드는 게 힘든 과정이었을 것 같다. 고민이 많았을 것 같은데. 
“감독님이 큰 도움이 됐다. 순차대로 다 설명을 해줬다. 영화에 해전 장면이 51분 정도 나오는데 실제와 거의 비슷할 정도로 박살 냈다고 하더라. 역사를 알고 나면 더 보인다고, 자신감이 생기면서 너그럽게 보였다. 장군 대 장군으로 봐야 연기할 때 감정적으로 풍요로워질 거라는 생각을 했다. 관찰자로서 이순신을 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또 왜군 팀의 도움도 많이 받았다. 그들이 나를 그렇게 봐주니 와키자카의 정체성이 세워지더라. 나 혼자 하기에는 무리였다.”

‘한산: 용의 출현’에서 와키자카로 분해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한산: 용의 출현’에서 와키자카로 분해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명량’에서는 조진웅이 와키자카를 연기했다. 어떻게 차이를 두려고 했나. 
“차이를 두려고 노력했는데 오히려 닮아지더라. 한산해전이 먼저 일어난 일이니까, 조금 더 슬림하고 빠르고 그러려고 외적인 모습부터 차이를 두려고 했는데, 갑옷이 안 맞는 거다. 너무 헐렁한 거다. 옷을 입고 초라해지고 자신감이 없어지더라. 너무 무겁고. ‘이거 와키자카 아닌데’하는 생각이 들더라. 옷을 수선할 없으니 증량밖에 없었다. 옷이 맞을 때까지 무제한으로 증량했다. 생각보다 금방 증량을 했다. 2주 정도 되니 갑옷이 슬슬 맞기 시작하더라. 그러니 자신감도 생기고 분장도 몸에 맞게 다시 바꿨다. 다른 와키자카를 표현하고 싶었지만, 비슷한 에너지로 닮게 가지 않았나 싶다.”

-일본어로 모든 연기를 소화했다. 어떻게 준비했나.
“선생님이 굉장히 많았다. 일본어 선생님 두 분이 계셨고, 현장에서 일본어를 잘 하는 옥 모 배우(옥택연)도 있었고, 일본에서 유학을 오래 한 감독님도 있었다. 일본어 선생님이 굉장히 열정적이고 욕심이 많았다. 처음에 현재 사용하는 일본어와 예전에 쓰던 일본어를 찾아서 비교해 줬다. 레퍼런스도 많이 보여줬고, 사극으로 톤을 만들기 위해서 엄청 고생을 많이 했다. 믿고 갈 수 있었다. 한국어 시나리오는 한 권이었는데,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다른 한 권이 더 있더라. 벽보고 맥주를 마시면서 대사를 외웠다. 대본을 한 장 한 장 찢으면서 외웠다. 툭 치면 나와야 하니까. 쉽진 않았지만 다행히 선생님들이 너무 잘 도와주셨다.” 

-왜군 장수로서 거북선을 첫 마주했을 때 기분이 어땠나.
“이순신 장군을 잠시 밀어놓고 와키자카 역할에 집중하자고 마음먹고 열심히 하고 있는데, 어느 날 거북선이 있는 거다.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와! 거북선이다!’ 이런 반응. 그러다 ‘너무 가슴이 웅장해지는데, 이러면 안 돼’ 하면서 왔던 길을 다시 돌아나갔다.(웃음) 그런데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왜군 역할에 집중하려고 했지만, 거북선을 보니까 ‘아, 내가 하려고 했던 작품이 이런 작품이었지, 이것 때문에 하려고 했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

‘한산: 용의 출현’을 통해 자긍심을 느꼈다는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한산: 용의 출현’을 통해 자긍심을 느꼈다는 변요한. /롯데엔터테인먼트

-이 작품을 통해 뜨거움을 많이 느꼈다고. 
“이순신 장군님을 생각해서다. 작품을 통해서 많이 배우고 싶었고, 그동안 내가 잊고 있진 않았나 생각하기도 했다. 이 영화를 하면서 감독님이 말한 자긍심을 굉장히 많이 느꼈다. 떳떳하고 믿음이 꽉 차고 스스로 용기를 갖는 게 자긍심인 것 같은데, 그 자긍심을 느꼈으니 앞으로 살아가는 방식도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독도함 시사도 진행했는데, 특별한 경험이었겠다.
“코로나19 때 영화 2편이 개봉했는데, 거리두기 때문에 관객이 많이 없었다. 그런데 이번 시사회에는 직접 관객을 대면했고, 많았다. 심지어 군인들이잖나. 영화가 끝나고 함성을 질러주더라. 이런 경험이 또 있을까 싶을 정도였다. 이래서 이 일을 하는 거지, 무언가 교류하고 있구나 싶었다. 개인으로서 박수를 받으려고 하는 순간도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영화의 전체적인 메시지가 전해지고 우리가 만든 작품을 좋아하면 관객들과 친해지고 대화하는 기분이 든다. 이걸 이제야 알게 됐다.”

-‘명량’에 이어 ‘천만 돌파’를 예상하는 이들도 많은데, 흥행에 대한 기대감은. 
“기쁘다. 많은 분들이 봐주셔서 기쁘다. 내겐 항상 마지막 스코어가 기쁨의 스코어다. 숫자로 정의를 내리고 싶지 않다. 매 작품 개봉할 때 축제였다. 흥행을 하든 못하든 할 수 있는 선에서 기쁨을 즐길 수 있었고 그래왔다. 지금도 그냥 개봉해서 좋다. 거리두기도 풀렸으니 예전처럼 자유롭게 극장에 와서 봐주면 좋겠다는 마음뿐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