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이 내부거래 물량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롯데그룹의 계열사인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이 내부거래 비중을 놓고 나란히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당국은 금융그룹 통합감독 모범규준 시행을 앞두고 내부거래 의존도 해소에 강한 압박을 가한 상태다. 두 회사는 모두 롯데금융 계열사 내에서 내부거래 물량이 높은 편에 속한다.

◇ 통합감독제 도입 임박… 커지는 압박 수위

오는 7월부터 삼성, 현대차, 한화, 롯데 등 7개 대기업 금융 계열사들이 금융당국의 통합건전성 감독을 받게 된다. 통합감독제는 기업 집단에 속한 금융계열사를 한데 묶어 재무건전성, 내부거래 여부 등을 감독하는 것이 핵심이다. 상호출자‧내부거래‧위험전이 등 금융회사간 거래 등의 금융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감독하고 동반 부실을 막기 위해 도입된다.

이 제도의 모범규준이 시행되면 금융그룹은 계열사 간 출자나 내부거래 등 다양한 그룹 위험을 자체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해야 한다. 또 내부거래와 계열사 지원 현황 등을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취약한 부분이 드러나면 당국은 개선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말 제도 시범 시행을 앞두고 대상 그룹 7곳의 CEO를 불러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당국은 주요 금융그룹의 주요 리스크(위험) 유형 사례를 공개하며 선제적인 개선에 압박을 가했다. 이 가운데 높은 내부거래 의존도를 가진 카드사도 사례도 언급됐다.

이는 롯데카드를 겨낭한 것이다. 롯데카드는 카드사 가운데서 계열사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곳이다. 실제로 지난해 가맹점 수수료수익 7,025억원 중 32%인 2,267억원이 계열사 거래에서 나왔다.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 롯데호텔, 우리홈쇼핑 등이 주요 거래처였다. 당국은 이같은 내부거래 비중이 높다고 보고 사실상 개선을 압박한 것이다.

이에 롯데카드도 고민에 빠졌다. 단기간에 계열사와의 거래 비중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계열 가맹점과의 계약을 임의적으로 축소하게 되면 오히려 고객들이 피해를 볼 수도 있다”며 “앞으로 외부 가맹점을 확대해 계열사 의존도를 줄여나갈 계획이지만 단기간에 획기적인 축소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 단기간에 내부 물량 축소, 쉽지 않을 듯 

여기에 모회사 지원 여력 축소 가능성에 따른 신용등급 하락 우려까지 사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고민은 더 깊다. 최근 신용평가사들은 모회사인 롯데쇼핑이 실적 부진에 빠지자 롯데카드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일제히 하향조정했다. 그룹의 지원 여력이 축소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내부거래 이슈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계열사는 또 있다. 바로 롯데손해보험이다. 롯데손보는 2008년 롯데그룹에 편입된 이후 계열사로부터 퇴직연금 물량을 받아 자산을 키워온 대표적인 곳이다.

지난해 말 퇴직연금 적립액 2조2,903억 원 중 42.1%인 9,651억원이 계열사 물량이다. 롯데손보의 내부거래 비중은 보험사에서 현대라이프생명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보험감독규정 변화로 높은 퇴직연금 내부거래 비중이 발목을 잡게 됐다는 점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보험업감독규정 일부개정규정안’을 통해 원리금보장형 퇴직연금의 신용위험과 시장위험을 지급여력(RBC)비율 산출식에 새롭게 추가한다고 밝혔다. 당국은 퇴직연금 리스크 비중을 ▲2018년 6월 35% ▲2019년 6월 70% ▲2020년 6월 100%로 순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당장 오는 6월부터 이같은 새로운 규정이 도입된다.

이같은 리스크가 반영될 시, RBC 비율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롯데손보는 지난해 낸 증권보고서에서 이같은 위험성을 설명했다. 롯데손보에 따르면 해당 규정이 도입될 시, 2018년 RBC 비율은 159.8%에서 136.7%로 23.1%p 하락할 것으로 추산됐다.

롯데손보의 RBC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70% 수준이다. 당국의 권고치를 웃돌지만 업계 평균 대비는 낮은 수준이다. 여기에 새로운 감독 규제까지 도입되면 건전성 관리는 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