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2018 전국민중대회 전 열린 민주노총 결의대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대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 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2018 전국민중대회 전 열린 민주노총 결의대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대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조나리 기자]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내부갈등설에 휘말렸다. 최근 실장급 간부와 국장급 간부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제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그간 누적된 계파갈등이 원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반면 민주노총 측은 “계파갈등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번 인사개편을 통해 향후 정부와의 관계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이례적 집단 사직... “계파갈등” vs “억측”

지난 4일 노동계에 따르면 최근 민주노총 대변인과 총무실장 등 실장급 간부 2명과 조직·총무실 국장급 3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조직쟁의실장과 미조직전략조직실장 등 실장급 간부들은 보직사임 의사를 밝힌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번 집단 사직을 두고 일각에서는 내부 계파 갈등이 불거진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온건파로 꼽히는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는 지난 10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이하 경사노위) 참여를 설득했다. 그러나 경사노위 참여를 위해 추진된 임시정책대의원대회가 정족수 미달로 연기되자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표출된 것 아니냐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억측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과장된 내용이다. 계파가 얼마나 된다고 계파갈등이 생기냐”고 되물었다. 집단 사직과 관련한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할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공식적으로 개별 인사들의 일신상의 사유를 가타부타 해명할 이유도, 또한 그럴만한 내용도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집단 사직의 배경에 대해선 확인된 것은 없지만, 적어도 민주노총은 최근 외부의 공격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경사노위 불참에 이어 청와대 인사들의 질책성 발언, 대정부 투쟁 선포 등이 대표적인 이유다. 여기에 유성기업 노조의 일부 조합원들의 폭력사태까지 불거지면서 정치권의 비난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민주노총은 문재인정부 들어서면서 대대적인 비정규 철폐 투쟁에 나섰다. ‘귀족노조’의 임금인상 투쟁과는 거리가 멀었다. 또한 ‘공공기관 비정규 제로’는 문재인정부의 공약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히려 최저임금 산입범위와 탄력근로제 등이 확대되면서 정부와 엇박자가 나기 시작했다. 이후 대화와 타협보다는 대정부 투쟁을 선택하면서 대중들의 공감을 잃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이번 집단 사직을 계기로 정부와의 관계에도 적잖은 변화를 미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온건파인 김 위원장과 비슷한 성향의 인사들로 지도부를 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확한 인사개편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민주노총은 지난 3일 채용공고를 내고, 조직쟁의(0명)와 대변인(0명) 물색에 나섰다. 서류마감은 오는 7일로, 민주노총은 사직서를 제출한 5명을 포함해 다음주 중 인사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