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제로페이 결제시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제로페이 결제시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조나리 기자] 신용카드 대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결제를 통해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제로페이’ 서비스가 시작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일 서울 중구 한 카페를 찾아 직접 제로페이로 결제,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현금과 카드 없이 스마트폰만 있으면 결제가 가능한 제로페이. 하지만 신용카드 결제 비중이 8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지불 습관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시민단체는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선 지속적으로 애로사항을 수렴해 편의성을 높이는데 주력해야한다고 조언한다.

◇ 직접 시연한 박원순 시장… “자영업자들 큰 힘 될 것”

중소벤처기업부와 서울시는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로페이 이용확산 결의대회’를 열고 서울시 프랜차이즈 26곳의 직영점과 부산 자갈치시장, 경남 창원시 일부 지역부터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제로페이는 큐알(QR)코드를 스마트폰 앱으로 인식해 결제금액을 입력하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바로 이체되는 모바일 직거래 결제시스템이다. 판매자에게는 0%~0.5% 수준의 수수료가 적용되고 소비자는 이용금액 40%의 소득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연매출 8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은 결제수수료가 0%로, 사실상 모든 영세 자영업자의 수수료 부담은 없게 된다.

제로페이 시범서비스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신용협동조합연합회, 신용금고중앙회, 우정사업본부 등 금융기관 20곳과 사전공모를 통해 선정된 결제회사 4곳(네이버페이, 엔에치앤(NHN)페이코, 하나멤버스,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이 참여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한 카페에서 직접 제로페이를 시범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숙·박홍근·이학영 의원도 동행했다. 제로페이가 가능한 가맹점은 출입구에 ‘제로페이 서울’이라는 스티커가 붙어 있다.

박 시장은 스마트폰으로 제로페이 앱을 실행한 후 카메라로 계산대 앞에 있는 QR코드를 찍었다. 그러자 박 시장의 은행 계좌번호가 나오면서 상품 금액을 입력할 수 있었다. 박 시장이 결제금액 5,600원과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하자 바로 카페 주인의 스마트폰에 돈이 입금됐다는 알림이 떴다.

서울시는 제로페이로 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인제도나 인센티브를 도입할 방침이다. 현재 세종문화회관 입장료와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티켓, 서울대공원 입장료, 공공주차장 할인 등의 할인혜택을 계획 중이다.

◇ 제로페이,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으려면

다만 소득공제 혜택만으론 카드결제 습관을 바꾸긴 어렵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재 신용카드 결제 비중은 80%에 육박, 사실상 현금 결제를 대체한지 오래됐다. 또한 신용카드는 당장 돈이 없어도 일정액을 소비할 수 있지만, 제로페이는 체크카드와 같이 계좌에 잔액이 있어야 쓸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단순히 현금을 소비하지 않는 것에 효용가치를 느끼는 소비자라면 상관없겠지만, 신용 소비를 주로 하거나 할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번거롭기만 하다는 지적이다. 제로페이 서울을 이용하기 위해선 스마트폰에 은행 앱이나 간편결제 앱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간편결제 앱을 사용할 경우 이용 전에 본인의 은행계좌를 결제 앱에 등록해야 한다.

또한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 등은 소비자들 사이에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지만 제로페이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제로페이가 포부와 달리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20일 오후 제로페이 가맹점수는 전체 소상공인 점포의 3%에 불과한 2만여 곳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을 방문한 시민이 제로페이를 이용해 결제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을 방문한 시민이 제로페이를 이용해 결제 하고 있다. /뉴시스

하지만 영세 상인들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등은 계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를 만드는데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편의기능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김주호 팀장은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일부 사용이 불편하다는 얘기는 들었다”면서 “단순히 홍보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홍보로 비용을 아무리 사용해도 불편하다면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금융위에서 카드수수료를 인하해 제로페이의 효용성이 다소 희석된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면서도 “이 같은 시도는 계속돼야 한다고 본다. 시민들 역시 상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준다는 생각으로 적극적인 참여와 독려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는 제로페이 사업에 2022년까지 77억6,7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내년 서울시 예산안으로 결의된 금액은 39억원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