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두 국방부장관이 최근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도발을 이해하자는 발언을 하면서, 이에 대한 정치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뉴시스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최근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도발을 이해하자는 발언을 하면서, 이에 대한 정치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김민우 기자]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도발을 이해하자는 정경두 국방부 장관의 발언을 놓고 정치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별개로 국방부 장관이 할 발언은 아니라는 것이다. 거센 후폭풍에 국방부가 천안함·연평도 도발에 대해 "명백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이라고 해명했지만, 군의 안보관에 대한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는 분석이다.

윤상현 자유한국당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 장관의 발언은) 훌륭하지 못한 지휘관이라도 감히 할 수 없는 망언"이라며 "적의 기습 공격으로 수많은 부하들을 바다에 묻어야 했던 장수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망발"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국방장관은 나라를 지키라고 임명된 자리이지 얼치기 선전단체 대변인 같은 노릇을 하라고 주어진 자리가 아니다"며 "이런 지휘관으로 우리 군을 변변치 못한 군사로 만들어버리려는 게 청와대 뜻이 아니라면 더 늦게 전에 다른 훌륭한 지휘관을 찾아 국방장관에 임명하라"고 촉구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도 이날 원내정책회의에서 "우리가 먼저 사과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건 먼저 항복하고 협상하자는 미련한 행동이고 정신 나간 소리"라며 "정 장관은 이번 망언으로 상처를 입은 천안함과 연평도 희생자들의 유족들 그리고 실망감을 느꼈을 군 장병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언주 바른미래당 의원도 "국방장관은 전략적으로 북한과 악수와 대화를 하더라도 46명의 장병을 수장시킨 만행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시라도 경계태세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해야하는 것 아닌가"라며 "그런 망언을 할 정도로 장관 자리가 탐났나"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된 정 장관의 발언은 지난 1일 KBS 신년기획 '한반도의 미래를 묻다'에 출연해 시민 패널의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자리에서 정 장관은 "과거사에 대해 사과를 해야되는 게 아니냐는 부분에 대해 국민들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을 잘 안다"라면서도 "우리도 (사과를) 생각하는 부분이 있지만 앞으로 잘 될 수 있는 차원에서 일부 우리가 이해를 하면서 미래를 위해 나가야 될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연평도 포격의 경우 일각에서 음모론이 제기되는 천안함 폭침과는 달리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북한의 도발이었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서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해 민간인 2명 등이 사망한 참사였던 것이다. 야권의 비판은 통일부와 외교부의 경우 정부의 대북정책에 발을 맞춘다는 차원에서 이와 같은 입장을 가질 수 있다고해도, 대한민국 국민을 지키는 것이 사명인 국방부의 장관이 할 말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방부는 이날 논란이 되자 입장자료를 통해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해 북한이 책임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음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며 "장관이 언급한 내용의 핵심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분명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국민들께 이해를 당부드린다는 것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는 취지의 발언이었다"며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도발시 희생된 전우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태세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방부는 '2018 국방백서'에서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지난해 6월 제2연평해전 16주기를 맞아 페이스북 등에 게재했던 추모 포스터에 '전사한'이 아닌 '순직한'이라고 적었다가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