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화제를 모았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도보다리 독대 장면.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1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화제를 모았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도보다리 독대 장면.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오는 11일 개최될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거듭 북한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북한이 협상장을 떠나지 않도록 다독이면서 북미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려는 시도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한미정상회담 전 대북특사, 후 남북정상회담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친다.

1일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북미 대화 재개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선순환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기 위한 한미 간 공조 방안에 대해 깊은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며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고 돌아갈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바라는 우리 국민과 세계인들의 염원을 실현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길을 찾겠다”면서 “막힌 길이면 뚫고, 없는 길이면 만들며 함께 나아갈 것”이라며 재차 의지를 피력했다. 김정은 위원장을 향해서는 “북한의 호응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진 시민사회단체 초청간담회에서도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는 정치,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크지만, 적대와 대결 구도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기 때문에 국민들이 평화를 가장 소중한 가치로 받아들이고 일상 속에서 실천되도록 하는 일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일상에서의 평화가 한반도 평화로 이어지도록 함께 힘을 모아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11월 25일부터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위원장을 초청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을 초청하자는 제안은 지난해 한-아세안 정상회의 당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했으며, 아세안 정상들의 호응도 나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앞으로 한반도 정세를 고려하면서 아세안 측과의 협의 하에 북한의 참석문제를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현재까지 북한 측의 특별한 반응은 나오지 않고 있다. 하노이 협상 결렬로 김 위원장의 리더십이 일부 손상됐던 경험이 있던 만큼, 당분간 신중한 입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공교롭게도 11일은 김정은 체제 2기 최고인민회의 첫 회의가 열리는 날로, 북한은 한미정상회담 관련 메시지를 살피면서 메시지 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최선희 외무상 부상은 핵 모라토리엄에 관한 김 위원장의 입장이 담긴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고 예고했는데, 최고인민회의가 그 자리가 될 것으로 유력하게 관측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