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 조치로 국내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시사위크
일본 정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 조치로 국내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시사위크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 조치를 실행에 옮기며 한일관계가 급속히 얼어붙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불매운동 등의 실질적인 움직임도 확산하기 시작하면서 관련 업계 및 기업들도 초조해지는 모양새다.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과정에 필수적인 소재에 대해 한국 수출규제 강화 조치를 내렸다. 수출 규제 품목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 가스), 리지스트 등이며, 일본의 세계 시장점유율이 70~90%에 달한다.

이 같은 조치는 4일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해당 소재를 우리나라에 들여오기 위해선 개별적으로 수출허가 신청 및 심사를 거쳐야 한다. 수출허가 신청 및 심사에는 약 90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본 정부는 이른바 ‘화이트 국가’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시키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화이트 국가’는 첨단재료 등의 수출과 관련해 허가신청이 면제되는 국가다. 한국이 ‘화이트 국가’에서 제외될 경우, 역시 각 수출 건별로 허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조치에 나선 배경에 대해 “한일 간 신뢰관계가 현저히 훼손됐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한국과의 신뢰관계 아래 수출을 관리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고, 한국과 관련한 수출관리를 둘러싼 부적절한 사안도 발생해 제도운용을 엄격히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진짜 이유’는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보복이라는 데 힘이 실린다. 일본 정부는 애써 부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지적은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현지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오는 21일로 예정된 참의원 선거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 일본 정부 보복성 조치에 다시 불붙는 반일감정

일본의 이 같은 행보에 우리 정부도 WTO 제소를 비롯해 강경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가뜩이나 냉기가 돌던 양국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는 모양새다.

특히 국내에서는 반일감정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일본의 이번 조치가 일제 강제징용 배상과 맞물려 해석되면서 반일감정이 빠르게 확산 중이며, 일본 제품 등에 대한 불매운동 등 실질적인 움직임도 포착된다. 실제 SNS 등 온라인상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를 선언하거나, 불매 리스트를 공유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한국에서 활동 중인 일본 관련 기업 및 업계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과거 우리 기업들이 중국의 ‘사드보복’에 큰 타격을 입었듯, 한일관계 경색 및 반일감정 고조로 불똥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경쟁이 치열한 수입차업계에서는 토요타와 렉서스, 혼다, 닛산 등의 브랜드들이 타격을 입을 위기에 놓였다. 이들은 앞서도 반일 이슈가 터질 때마다 싸늘한 시선을 받은 바 있다. 일본이 자랑하는 전자제품 브랜드 소니, 파나소닉, 캐논, 니콘 등도 입장이 난처해졌다.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가 우리나라 전자제품 업계를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과 접점이 보다 넓은 유통업계는 말 그대로 비상이다. 유니클로, ABC마트, 꼼떼가르송, 데상트, 아식스, 에비수 등 패션브랜드와 아사히, 기린, 삿포로 등 맥주브랜드, 시세이도, SK-II, DHC, 슈에무라 등 화장품브랜드 등은 당장 불매운동에 따른 실질적인 타격을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됐다.

특히 ‘위안부 콘돔’이라 불리는 콘돔브랜드 오카모토를 비롯해 전범기업 및 일본 우익단체 지원 기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기업들은 좌불안석이 따로 없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억울한 측면이 크지만, 적극적으로 해명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특히 일본에서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국내 일부 업계 및 기업들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성수기를 앞둔 항공업계와 여행업계는 핵심 시장인 일본에서 터져 나온 악재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에도 일본을 덮친 자연재해로 실제 실적에 적잖은 타격을 입은 바 있는데, 올해 또 다시 좋지 않은 상황을 마주하게 됐다.

이와 관련,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사태를 주목하고 있다. 일단은 갈등국면이 해소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