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롯데카드 사장이 내실경영 강화를 통해 조직의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롯데카드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이 선임된 지 3개월째에 접어들었다. 그는 취임 후 내실경영 강화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신사옥 이전을 계기로 조직 분위기 쇄신에 나서는 한편, 외부 인재도 영입했다. 수익성 관리와 소비자보호 등 다양한 과제를 마주하고 있는 롯데카드가 분위기 전환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 새 조직 문화 이식·외부 인재 영입으로 분위기 전환 

조 사장은 지난 3월 말 롯데카드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롯데카드가 지난해 10월 MBK파트너스를 새 대주주로 맞이한 후 새롭게 선임된 첫 대표이사다. 롯데카드는 대주주 교체 후 조직 안정 차원에서 기존 대표이사 체제를 6개월간 유지했던 바 있다. 김창권 전 대표이사는 지난 3월까지 대표이사로서 회사를 이끈 뒤, 롯데카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조 사장은 현대카드 출신의 마케팅 전문가로 알려진 인사다. 조 사장은 현대카드 마케팅총괄본부장, 전략본부장, 현대캐피탈아메리카 대표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현대카드 마케팅총괄본부장 당시 기업 이미지(CI)를 개편해 주목을 받았다. 현대카드의 빅히트작인 M카드·블랙카드를 탄생시키는 데도 일조한 인물이다.  

이에 그의 선임 당시 안팎에선 기대의 시선이 적지 않았다. 그는 사장 취임 후, 공격적인 신상품 출시와 마케팅을 앞세우는 것보다 조직 내실 강화에 힘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선 신사옥 이전을 계기로 새로운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롯데카드는 지난 5월 서울 남대문 롯데손보빌딩에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콘코디언 빌딩으로 사옥 이전을 마쳤다. 조 대표는 사옥 이전에 앞서 사무실의 설계, 공간 배치, 인테리어 등 전반적인 사항들을 세심하게 신경 쓴 것으로 알려진다. 

롯데카드 설명에 따르면 신사옥은 수평적 기업문화와 유연하고 탄력적인 애자일(Agile) 조직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좌석 배치, 공간 활용에 중점을 뒀다. 기존에 상석 형태로 있던 팀장과 팀원과의 자리 구분을 없앴다. 또한 모듈형 테이블, 스탠딩 테이블을 설치해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업무와 휴식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장소인 복합문화공간 ‘워킹 라운지’도 7개 층에 선보였다. 또 1대 1일 미팅 공간, 대표이사와 토론이 가능한 워(WAR) 룸 등도 마련했다. 업무 효율성과 직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공간 설계가 돋보였다.  

이외에 과감한 외부 인재 영입으로 조직에 새로운 활력도 불어넣고 있다. 롯데카드는 이달 초 정상호 전 삼성카드 전략영업본부장을 마케팅본부장(부사장)으로 선임했다. 롯데카드는 대주주 교체 후 현대카드, 삼성카드 등 외부 출신 인사를 임원으로 영입해 조직 쇄신에 힘써왔다. 조좌진 대표이사 체제에서도 이 같은 인사 기조는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 카드업황 여전히 난조… 조직 혁신, 새로운 활력될까   

조 대표의 내실 강화 노력이 올 하반기 성과로 나타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롯데카드는 올 1분기 채권 매각에 따른 일회성 이익 반영에 힘입어 큰 폭의 이익 증가세를 보였다. 롯데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509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문제는 업황 전망이 여전히 좋지 못하는 점이다. 카드업계는 잇단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몇 년째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비심리까지 움츠러들어 업계의 부담이 더해졌다. 또 간편결제시장이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면서 카드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롯데카드는 민원 관리 강화라는 숙제까지 마주했다. 여신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올해 1분기 고객 10만명 당 소비자 민원이 1.99건으로, 1년 전보다 16% 증가했다. 10만명 환산민원 건수를 기준으론 업계에서 가장 높은 건수를 기록했다. 민원 유형을 살펴보면 제도정책 관련해서 민원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소비자보호를 위한 민원관리에 보다 바짝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연 조 대표가 내실경영 강화로 수익성 개선과 조직혁신, 소비자보호 등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