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부가 16일 남북 합의로 비무장화한 지역에 다시 진출하고 대남전단 살포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사진은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해 4월 26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헌병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 /뉴시스
북한 군부가 16일 남북 합의로 비무장화한 지역에 다시 진출하고 대남전단 살포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사진은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해 4월 26일 오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헌병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북한은 16일 군부 성명을 통해 남북 합의로 비무장화한 지역에 다시 진출하고 대남전단(삐라) 살포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이날 조선중앙통신 ‘공개보도’ 형식으로 입장문을 통해 “우리는 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와 대적 관계 부서들로부터 북남 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된 지대들에 군대가 다시 진출해 전선을 요새화하며 대남 군사적 경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행동 방안을 연구할 데 대한 의견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군부의 이같은 반응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자신 명의의 담화를 통해 군부를 통한 대남 군사 도발을 시사한 지 사흘 만에 나왔다. 

북측이 언급한 남북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된 지대는 2018년 9·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른 장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9·19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됐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북한 군인들이 무장을 하고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남북 합의하에 파괴됐던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를 다시 설치할 수도 있다.

총참모부는 “우리 군대는 최근 각일각 북남 관계가 악화일로로 줄달음치고 있는 사태를 예리하게 주시하며 당과 정부가 취하는 그 어떤 대외적 조치도 군사적으로 튼튼히 담보할 수 있도록 만단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 군부는 남측을 향해 전단 살포에 나서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총참모부는 “지상전선과 서남해상의 많은 구역을 개방하고 철저한 안전조치를 강구해 예견돼 있는 각계각층 우리 인민들의 대규모적인 대적 삐라 살포 투쟁을 적극 협조할 데 대한 의견도 접수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이상과 같은 의견들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한 군사적 행동 계획들을 작성해 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승인을 받게 될 것”이라며 “우리 군대는 당과 정부의 그 어떤 결정 지시도 신속하고 철저히 관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강조하는 바 우리 군대는 당과 정부가 취하는 그 어떤 대외적 조치도 군사적으로 튼튼히 담보할 만단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했다.

북한의 군사도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대북전단 갈등 국면 초기 상황을 감안하면 군부의 도발은 수위를 조절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여정 제1부부장, 장만철 외무상 등 주요 직위자들의 비난 담화에 비해 군부의 입장문은 온건한 기조다.

이에 군부가 우리 정부의 반응을 지켜본 후 군사행동을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