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 통합당 의원들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통합당은 최근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뉴시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 통합당 의원들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통합당은 최근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뉴시스

시사위크=김희원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던 4‧15 총선 후 4개월 만에 민심이 여당인 민주당에 경고를 보내고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에는 손짓을 보내기 시작했다. 최근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통합당의 지지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은 울고 야당은 웃고 있는 셈이다.

일부 여론조사 결과, 줄곧 선두를 지켜온 민주당을 통합당이 바짝 추격하면서 지지율 격차가 소수점대로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는 민주당이 통합당에 10%포인트 가까운 격차로 역전당했다는 결과까지 나왔다. 심지어 제20대 대선 가상대결 여론조사도 민주당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에 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 이후 4개월 전인 21대 총선까지 줄줄이 완패를 하며 위축돼 있던 통합당은 대놓고 기뻐하지는 못하고 표정 관리를 하는 모습이지만 지지율 상승에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 내년 4월 재보궐 선거와 2022년 대선에 희망이 생긴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돌고 있다.

그러나 최근 통합당의 지지율 상승 원인은 통합당이 잘해서라기보다는 ‘박원순 사건’과 정부여당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발 등으로 발생한 반사이익 때문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통합당에 정권을 맡겨도 될 만큼의 대안정당의 모습을 보여준 적은 사실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에도 처절한 반성과 쇄신보다는 보수진영 내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 세력과 탄핵 부정 세력이 맞붙어 ‘네 탓’ 공방만 하기에 바빴다.

20대 국회에서 통합당의 전신인 새누리당과 자유한국당은 철지난 색깔론을 들고 나와 민주당에 공격을 퍼붓기 일쑤였다. 2018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시 자유한국당은 남북 교류 흐름을 “위장평화쇼”로 규정하고 ‘나라를 통째로 넘기겠습니까’ 등의 구호를 외치며 색깔론 공세를 퍼부었다. 당시 한국당은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합리적 비판과 대안 제시보다는 색깔론 공세로 민심을 선동하기에 급급했다.

통합당의 ‘발목잡기’ ‘반대를 위한 반대’ 행태도 비판을 받아왔다. 20대 국회에서 국회 의사일정 전면 보이콧, 장외투쟁 카드는 단골 메뉴였다. 특히 통합당은 태극기부대 세력 등의 강경 지지층 눈치 보기에 급급한 행태를 보이며 극우화 현상까지 보였다. 이는 지난해 5‧18 민주화운동 폄훼·왜곡 발언으로 논란이 된 김순례‧이종명‧김진태 전 의원 징계에 미적대는 모습을 보였던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올해 총선을 앞두고 세월호 막말 논란을 일으킨 차명진 전 의원 징계 문제에서도 단호한 대응은 없었다.

총선이 임박했던 지난 2월 황교안 전 대표는 “1980년, 그 때 뭐 하여튼 무슨 사태가 있었죠? 1980년. 학교가 휴교되고 뭐 이랬던 기억도 그러네요”라고 말해 5·18 폄훼 논란에 휩싸였던 일도 있었다.

통합당은 4‧15총선 참패 이후 김종인 전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영입해 당 쇄신에 나섰다. 그러나 ‘김종인 비대위 체제’는 내년 4월 재보궐선거 때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임시 체제다. 김 비대위원장은 통합당에서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주류가 아니다. 선장 자리에 임시로 앉은 비주류다. 그가 각종 비전을 내놓더라도 그가 떠나면 통합당의 쇄신 작업이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2018년 7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노무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 출신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도 현역 의원 당협위원장 교체 작업 등을 벌였다. 그러나 우경화 현상을 보였던 통합당의 체질까지는 바꿔 놓지 못했다.

윤희숙 통합당 의원은 최근 임대차 3법을 비판한 본회의 ‘5분 연설’로 큰 화제를 일으켰다. 그러나 윤 의원이 주장한 메시지의 내용이 부자 감세와 부동산 규제 철폐를 주장해 온 통합당의 기존 논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된다는 점도 통합당은 잊지 말아야 한다.

통합당의 최근 지지율 상승은 통합당이 잘해서라기보다는 반사이익 효과가 크다는 것은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진행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통합당이 야당 역할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20%에 그쳤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6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통합당은 당 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반사이익이 아닌 정책 역량을 보여야 한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통합당이 진정한 혁신과 쇄신으로 새로운 대안 정당으로 거듭나 반사 이익이 아닌 자력으로 지지율 상승을 이루는 날이 오길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