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보궐선거가 6개월 남짓 남았지만, 서울시장의 정치적 중요성으로 인해 정치권은 선거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시청사의 모습. /뉴시스
내년 4월 보궐선거가 6개월 남짓 남았지만, 서울시장의 정치적 중요성으로 인해 정치권은 선거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청사의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지금으로부터 약 6개월 뒤인 내년 4월 7일, 서울시 유권자들은 새로운 시장을 선출해야 한다. 서울시장이 갖는 상징성이 큰 만큼, 선거가 6개월 남짓 남아있음에도 여야 모두 결과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2022년 대선 1년 전에 치러지는 보궐선거인 것을 감안하면 서울시장 선거의 정치적 의미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 서울 잡은 정당, 대선도 승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서울시 유권자수는 847만7,244명(21대 총선 기준)이다. 경기도(1,106만7,819명)보다는 적지만 전국에서 2번째로 가장 큰 선거구인 셈이다. 올해 치러진 21대 총선의 총 유권자수가 4,399만명임을 감안한다면 전체 유권자의 4분의 1이 서울시에 몰려있다고 보면 된다. 

유권자수가 많은 만큼, 표심도 복잡하다. 서울은 영·호남 지역과는 달리 특정 정당에 표심이 쏠리지 않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곳의 정당지지율을 전국 평균으로 볼 수도 있다. 또 젊은층, 고학력자, 중산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이슈에 민감한 경향을 보인다.

지난 여름 부동산 이슈로 정부·여당이 비판을 받을 당시 서울 지역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거나, 뒤집히는 여론조사가 나오기도 했다. 즉 서울지역은 이슈에 따라 표심이 빠르게 움직이고, 특정 이념이나 정당에 쏠리는 편향성이 약하기 때문에 서울 유권자의 표심을 잡은 정당이 대선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2017년 대선에서 41%를 득표한 문재인 후보는 서울에서 42.3%의 표를 얻었다. 당시 2위를 차지한 홍준표 후보는 서울에서 20.7%, 전국에서 24%를 얻었다. 전반적으로 서울 득표가 전국 평균과 비슷한 셈이다. 또 1995년과 2014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선거를 승리한 민주당은 이후에 치러진 1997년·2017년 대선에서도 이겼다. 2006·2010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자리를 지킨 한나라당은 그 이후 치러진 2007·2012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를 통해 서울시장 선거 결과가 대통령 선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서울시장 선거에 총력전

이같은 이유로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결과를 보면 2022년 대선도 예측 가능하다는 전망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따라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서울시장 선거에 총력을 다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국민의힘은 일찌감치 서울시장 후보군이 드러나고 있다. 최근 국민의힘 경선준비위원회가 꾸려지며 출마를 저울질하던 일부 후보들이 준비위 불참을 선언하면서다. 당내에서도 보궐선거 출마 의사가 명백하다면 준비위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연이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서울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선동 전 의원, 역시 재선의원 출신인 오신환 전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오 전 원내대표의 경우 준비위에 합류할 것을 제의받았지만 이를 고사했다. 이외에도 중진으로는 서울 양천을에서 3선을 지낸 김용태 전 의원, 서울 동작을 등에서 4선을 한 나경원 전 의원 등이 언급된다. 

반면 민주당은 후보군이 언급되고 있으나 더 큰 산을 넘어야 하는 상황이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유고로 이번 보궐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에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 당헌·당규에도 자당의 귀책사유로 재보궐선거가 치러질 경우 후보를 내지 못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민주당은 유권자들에게 직접 심판을 받겠다는 취지로 후보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서울시장 선거의 정치적 중요성도 고려한 선택으로 보인다. 이에 14일 출범한 민주당 혁신위원회에서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는데 앞장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민주당에서 거론되는 서울시장 후보군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우상호 의원, 박주민 의원 등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