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사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정부의 주파수 재할당 정책이 5G네트워크 장비 업체에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 그래픽=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5G 투자 규모에 따라 주파수 재할당 대가 비용을 할인해주는 옵션이 담긴 정부의 주파수 재할당 정책방안으로 적잖은 부담을 앉게 된 통신사들과는 달리, 5G장비 제조업체에겐 상당한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나금융투자 김홍식 실장은 18일 ‘통신서비스·네트워크장비(Overweight)’ 보고서를 통해 “이번 주파수 재할당 이슈는 네트워크 장비주에 호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신사들이 정부가 제시한 할인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5G기지국 투자를 늘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5G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의 의 수익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에서 제시한 주파수 재할당 대가는 4조4,000억원이다. 최소 재할당 비용인 3조2,000억원을 지불하기 위해선 오는 2022년까지 각 통신사별로 15만국 이상의 5G기지국을 구축해야만 한다. 현재 각 사별로 4~5만개 수준의 5G 기지국을 구축한 상황임을 감안 시 결코 적지 않은 수준이다. 

김홍식 실장의 설명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주파수 할당 대가를 3조2,000억원 수준에 통신사들이 맞추려면 작년의 두 배 수준으로 5G기지국 투자에 임해야 한다. 3조7,000억원 수준으로 맞춘다고 해도 통신사들은 지난해 수준의 5G기지국 투자를 향후 2년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통신사들이 5G설비에 투자한 비용은 각각 △KT가 3조2,568억원 △SK텔레콤 2조9,200억원 △LG유플러스 2조6,085억원이다.

김홍식 실장은 “현재 규제 상황, 커버리지 및 트래픽 상황을 감안할 때 국내 투자는 올해를 저점으로 2021년~2022년까지 재차 5G CAPEX(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보수적으로 봐도 2021년 통신3사의 CAPEX 8조원 이상의 집행이 유력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5G CAPEX는 2019년 이상으로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다”며 “투자자들은 KMW, RFHIC, 다산네트웍스, 이노와이어리스, 쏠리드 등 5G네트워크 장비업체들에 대한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