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미정 기자  3월 새 학기를 앞두고 지방대들의 곡소리가 무성하다. 입학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지방 대학가를 휘감고 있다. 수도권에서 거리가 먼 지역일수록 생존 위기감은 더욱 큰 분위기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 수도권에서 거리가 먼 벚꽃 피는 지역에서 폐교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대학가 속설로, ‘지방대 위기’를 논할 때 자주 회자되는 말이다. 

특히 올해는 더욱 위기감이 큰 분위기다. 지난달 종로학원하늘교육이 2021학년도 정시모집 현황을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 소재 대학의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2.7대1에 그쳤다. 서울권 대학의 정시모집 경쟁률이 5.1대1,  수도권대학이 4.8대1로 나타난 것과 비교됐다.  

정시모집에서 수험생은 1인당 3곳까지 복수지원이 가능하다. 중복 합격한 지원자가 다른 대학으로 이탈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쟁률이 3대1을 못한다는 것은 ‘미달 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방소재 대학의 정시 평균 경쟁률이 3대1도 넘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경쟁률이 3대1에 미치지 못하는 대학은 전체 지방권 대학 124개 중 57.3%인 71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사고 있다. 이에 다수의 지방대학이 올해 ‘입학정원 미달 사태’를 맞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입학정원 감소는 결국 대학의 재정 악화로 이어진다. 등록금 수입의 의존도가 높은 만큼 입학생이 줄수록 재정은 나빠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입학정원 감소로 현재 상당한 지방대학들이 위기에 내몰려 있다. 

심각한 재정악화로 문을 닫는 사례도 나오고 있어 지방 대학의 위기론을 부채질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의 동부산대가 재정난으로 폐교한 데 이어, 이달엔 전북 군산에 위치한 서해대가 문을 닫을 예정이다. 이들 대학은 입학정원 감소에 따른 재정악화와 각종 운영 비리로 어려움을 겪다가 교육부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았다. 

지방대학의 몰락은 지역 경제의 침체와도 이어진다. 단순히 ‘상아탑’이 붕괴되는 것을 넘어, 지역경제 유지와 국가균형 발전 차원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정부는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 2014년 지방대 육성법을 제정하고, 수년째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최근 정치권에선 정부가 지방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019년 정부 대학재정지원현황에 따르면 지방대 1교당 지원액은 121억원으로, 수도권대(225억원)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다만 재정 지원을 확대한다고 지방대가 살아날지는 미지수다. 각 대학이 스스로 자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 대학 스스로도 뼈를 깎는 혁신이 필요하다. 수요자 중심의 차별화된 교육 역량을 키우는 한편,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융합발전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대학 운영 투명성 제고도 과제로 거론된다. 최근 2000년 이후 폐교한 대학 17곳 가운데 13곳은 사학비리가 원인이 됐다. 내부에 곪아터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벚꽃엔딩’은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