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안철수(좌) 국민의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결국 결렬되며 ′후보등록 마감일 전 단일화′가 불발됐다. /뉴시스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안철수(좌) 국민의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결국 결렬되며 ′후보등록 마감일 전 단일화′가 불발됐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야권 단일화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불과 몇 시간 사이 냉탕과 온탕을 오가던 협상이 결국 결렬됐고 ‘후보등록 마감일 전 단일화’가 물거품 되면서다. 추후 협상이란 여지는 남겼지만, 감정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단일화 협상의 어려움은 계속될 전망이다.

18일 야권 단일화는 혼전을 거듭했다. 전날(17일) 협상에 실패한 양측은 이날 아침부터 재협상에 돌입했다. 당초 이들은 후보등록 마감일(19일)까지 단일화를 해내겠다고 공언해 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협상에도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면서 결국 이날 오전 11시 쯤 사실상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불과 한 시간 만에 분위기는 반전되는 듯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의 제안을 전격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다. 오 후보가 제안한 방식은 두 개의 여론조사 기관에서 ‘경쟁력’과 ‘적합도’를 따로 조사해 각 50%씩 반영하는 것이다. 안 후보는 이날 정오 경 긴급 입장문을 내고 “마지막 협상의 끈을 놓지 않겠다. 오세훈 후보가 오늘 아침에 수정 제안한 여론조사 방식을 전적으로 수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에 오 후보가 “환영한다”는 뜻을 밝히며 오후부터 협상이 재개됐다. 하지만 쟁점인 ‘유선전화 포함’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상은 또다시 결렬됐다. 안 후보 측 이태규 국민의당 사무총장은 회동 후 기자들을 만나 “우리가 생각한 건 오 후보가 무선 100%를 전제로 말한 거로 받아들였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이 요구하는 ′유선전화 10%′를 받을 수 없다고 못박은 것이다.

이들은 각자 후보등록 이후 추후 협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지만, 갈등이 깊어진 상황에서 접점을 찾긴 쉽지 않아 보인다. /뉴시스

◇ 19일 각자 후보등록

양측이 단일화 협상 불씨를 살리지 못하면서 두 후보는 내일(19일) 각자 후보등록에 나설 예정이다. 오 후보 측 정양석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지금 여론조사 문항이 만들어져도 내일 후보등록에 맞춰 여론조사가 되기에는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 사무총장도 “(내일 후보등록을 각자 하는 것에 대한) 현재 입장은 물리적으로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후보등록 이후 투표용지 인쇄일(29일)이 사실상 야권 단일화의 ‘데드라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양측도 일단은 후보등록을 마친 뒤 시간을 두고 협상을 진행하자는 분위기다.

하지만 협상 과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차적으로는 양측 모두 단일화 상황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방식을 포기하지 못하는 데다가,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사이의 신경전도 점점 더해지고 있는 탓이다.

오후 협상이 결렬되자 당장 안 후보는 “막상 협상장에 들어가면 후보의 입장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며 “매번 후보와 당의 입장이 다르면 협상이 진척될 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간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상왕’에 비유하며 오 후보가 직접 나서라고 압박한 것의 연장선이다.

반면, 오 후보는 이날 서울시장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안 후보께 결례되는 표현이지만 국민의당은 사실상 1인 정당, 사당”이라며 “본인이 서울시장 출마한다면 당에서 수용하는 체제지만, 국민의힘은 공당이라 아무리 대표 선수라도 무슨 사안이든 협의하는 게 도리”라고 반박했다.

29일 전까지 후보 단일화가 된다고 하더라도 시너지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투표용지에 이름이 빠지지 않은 채 사퇴한 후보 이름에 빨간 줄만 그어지는 탓이다. 자칫 무효표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아울러 이미 단일화를 마치고 세몰이에 돌입하는 여권과 비교했을 때도 열세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최악의 수인 ‘3자 구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다만, ‘3자 구도는 곧 필패’라는 공식에 야권이 모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양측 모두 협상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