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없거나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도 주기적 스케일링 등 검사·관리 필수

/ 픽사베이
자연치아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와 주기적인 검사가 동반돼야 한다. / 픽사베이

시사위크=제갈민 기자  평균연령 증가에 따른 고령화로 치아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임플란트·틀니 등 자연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제2의 치아가 있지만, 영구적이지 않으며 여러 한계가 존재한다. 경희대학교의료원 치과병원에서는 잇몸의 날(3월 24일)을 맞아 어떻게 하면 자연치아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설명했다.

경희대치과병원에서는 자연치아의 관리 방법으로, 증상이 없거나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도 꾸준한 검사와 관리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치주질환(잇몸병)에 대해 관리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치주질환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염증이 잇몸 표면에 국한돼 있는 ‘치은염’과 치주인대와 치조골로 깊이 진행되면서 파괴로 발생하는 ‘치주염’이다. 주된 원인은 치태와 치석에 있는 세균이다. 치태의 세균과 세균이 내뿜는 독소가 치아 주변의 잇몸에 염증을 유발해 치조골의 소실을 일으킨다.

신승윤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치주질환에 대해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입 냄새, 양치질 시 간헐적인 출혈 등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아 무심코 넘기다 이가 흔들리거나 음식 섭취 간 불편감을 느껴 치과를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며 “치료시기를 놓치면 치조골의 소실은 물론 치아가 치조골 내에 유지될 수 있게 도와주는 부착조직까지 파괴돼 치아가 심하게 흔들리고, 이를 뽑아내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치주질환의 초기인 치은염 단계에서는 양치질을 잘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치태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으면, 무기질과 결합해 단단한 치석으로 변하게 된다. 치석 표면은 세균으로 구성된 치태의 서식지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

신승윤 교수는 “치주 조직의 염증과 상태에 따라 치근활택술, 치은절제술, 치은판막술 등 다양한 치료를 진행하는데, 심한 경우 치아를 발치하고 임플란트나 틀니 등 보철 치료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며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기적인 스케일링과 올바른 양치질 습관, 치실, 치간칫솔 사용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육안으로 파악이 힘든 충치(치아 우식증)와 치아 크랙에 대해서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문제를 사전 또는 조기에 예방할 것을 제안했다.

적지 않은 환자들이 어금니를 비롯한 치아에서 통증이 느껴져 치과에 방문했지만, 원인을 모르겠으니 조금 더 지켜보자는 답변을 받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 보통 치과에 방문하면, 전통적인 치과검진 방법(육안 확인 등)을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특이사항이 관찰됐을 때는 파노라마, 치근단 방사선 사진 등과 같은 X-RAY 영상장비를 활용한다.

그러나 환자 본인이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낀다면 육안 검진 시 문제가 확인되지 않더라도 정밀진단이 가능한 치과에 방문해 정량광형광검사(Q-RAY)와 각종 X-RAY를 촬영을 할 것을 권한다.

경희대치과병원 측은 “환자가 치아 통증 등 불편을 호소할 때 육안으로는 치아의 문제 파악이 힘든 경우가 있으나, 정밀검사를 진행하면 환자들에게서 종종 치아 균열이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치아 균열을 방치할 경우 치료시기를 놓쳐 신경·보철치료나 발치까지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오송희 경희대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 교수는 “치아 진단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육안관찰, 파노라마 사진 등이 있는데 병소의 위치나 진행 정도, 질환에 따라 진단의 정확성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특히 치아의 인접면이나 교합면의 충치, 치아균열은 조기검진에 어려움이 있고 진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희대치과병원에 따르면 최근 교합면·인접면·치아균열 의심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은 정량광형광검사(QLF)와 초저선량 정밀 교익 방사선 영상의 병용 검사를 실시한 결과,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전통적인 치아 진단방법에 비해 진단의 정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오송희 교수는 “의료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병원을 찾았다는 것에만 의의를 두기보다는 다양한 영상학적 기술을 적극 활용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