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적 하락세가 뚜렷한 중소기업 넥스트아이는 이준석 관련주로 지목되며 주가가 들썩였다. /뉴시스
최근 실적 하락세가 뚜렷한 중소기업 넥스트아이는 이준석 관련주로 지목되며 주가가 들썩였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최근 ‘제1야당’ 국민의힘이 당대표 선거가 한창인 가운데, 이른바 ‘이준석 현상’이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준석 전 미래통합당 최고위원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내면서 국회의원 경험 없는 30대 제1야당 당대표 탄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이준석 현상’은 정치 변화에 대한 갈망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어김없이 ‘정치인 테마주 현상’이 고개를 들며 ‘이준석 현상’의 등장 배경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 2주 새 주가 2배 뛴 넥스트아이, 실적은…

넥스트아이는 최근 이준석 전 최고위원 관련주로 지목되며 주가가 들썩인 대표 기업이다. 올해 1,680원으로 시작한 넥스트아이 주가는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1,400원대에 형성돼있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달 22일을 기점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넥스트아이 주가는 5월 22일과 23일, 이틀 연속 전일 종가 대비 16%, 10.6% 상승해 장을 마감했다. 이어 5월 31일에도 전일 대비 23%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지난 4일엔 장중 한때 3,00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가 상승의 요인을 넥스트아이에서 찾긴 어렵다. 넥스트아이는 산업용 검사장비 및 뷰티사업을 영위 중인 중소기업이며, 최대주주 및 주요 경영진은 중국계다. 이러한 넥스트아이는 최근 실적 하락세가 뚜렷하다. 2018년 872억원까지 증가했던 매출액이 2019년 560억원에 이어 지난해 347억원까지 떨어졌다. 또한 2019년 16억원, 지난해 10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적자를 면치 못했다. 

올해는 상황이 더욱 좋지 않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든 56억원에 그쳤고, 1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러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넥스트아이의 주가를 들썩이게 한 것은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었다. 넥스트아이의 주가 흐름은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행보와 정확히 맞물렸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한 이후 넥스트아이 주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이어 ‘이준석 현상’이 본격화하자 넥스트아이 주가는 3,000원을 돌파했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당 대표 출마 선언을 하기 전과 비교하면 불과 약 2주 만에 주가가 2배나 오른 것이다. 

◇ 황당한 이유… 피해는 결국 개미투자자

문제는 이러한 정치인 테마주 현상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그 폐단 또한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물만 바꿔가며 지속되는 정치인 테마주 현상은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 뿐 아니라 정상적인 투자 활동을 방해한다. 결과적으로 희생양이 되는 것은 일반 개미투자자들이다. 

실제 대부분의 정치인 테마주는 해당 기업과 정치인의 관계가 불분명하고, 실질적인 수혜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가가 크게 오르다가도 이내 폭락하는 등 불확실성 및 변동성이 크다. 해당 정치인이 선거에 당선되는 등 좋은 성과를 낸 직후 관련주로 지목된 기업의 주가가 폭락하기도 한다. 심지어 정치인 테마주로 지목돼 주가가 들썩인 이후 상장폐지 위기를 맞은 기업의 사례도 있다.

넥스트아이 역시 8일 주가가 전일 종가 대비 10.1% 급락했다. 주가가 돌연 급락한 이유도 뚜렷하지 않다.

넥스트아이가 이준석 전 최고위원 관련주로 지목된 이유 역시 그 실체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황당하기까지 하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부친이 과거 넥스트아이 감사로 재직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정치적 행보에 따른 사업적 수혜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심지어 과거에 재직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관련주로 지목된 것이다.

최근엔 여기서 더 나아가 해당 기업 및 최대주주가 정치인 테마주 현상을 적극 활용해 이익을 얻는 일이 자주 벌어지고 있다. 주가가 오른 틈을 타 자사주 혹은 보유 주식을 처분해 막대한 현금을 거머쥐는 것이다. 이는 해당 기업 주가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고, 역시 피해는 일반 개미투자자들이 떠안게 된다.

이와 관련 한 주식시장 관계자는 “해당 정치인의 정책과 관련된 기업이라면 모를까, 학연이나 인맥 같은 것을 보고 투자하는 것은 비정상적”이라며 “투자자 차원에서도 현혹되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테마주 현상을 악용해 잘못된 방법으로 이익을 거두는 이들에 대해 관계당국 차원의 철저하고 강력한 감시 및 제재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