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7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청와대
청와대는 28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에 대해 “출발의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7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청와대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청와대는 28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에 대해 “많은 문제들을 논의해갈 출발점인 통신선을 복원한, 출발의 의미가 있다. 앞으로 많은 것들은 또 논의하고 협의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전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폭파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재건에 대한 진행자의 질문에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아직 논의하거나 합의하거나 그런 적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남북은 지난 27일 13개월 간 끊겼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남북 통신연락선은 지난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유지돼왔지만, 지난해 6월 9일 북측의 일방적 단절 조처로 완전히 끊긴 바 있다. 남북이 27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복원한 통신연락선은 판문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서해지구 군 통신선이며, 정상 간 핫라인은 포함되지 않았다. 

박 수석은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렇게 되면 좋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어제(27일) 가장 낮은 단계의 통신선 복원이라고 하는 출발선에 선 것”이라며 “남북 간에는 늘 예상하지 못했던 암초도 있을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현 가능하고 합의 가능한 징검다리들도 놓아가면서 양국 간 생길 수 있는 암초를 극복해가면서 가는 길이 될 것”이라며 “그중에 남북정상회담이라는 것도 하나의 징검다리로서 (볼 수 있고) 최종 목표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 아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런 징검다리들을 하나씩 놓아가고 암초를 제거해가면서 북한이 발표한 대로 ‘큰 걸음’에 이르길 기대하고 갈 뿐”이라고 덧붙였다. 

박 수석은 “통신선 복원만으로는 충분한 대화와 협상의 수단이 될 수 없지 않느냐”며 “조금 더 자유롭게 대화하기 위해서 화상회의 시스템 같은 구축 같은 것들 정도는 구상하고 염두에 둘 수 있겠다”고 했다.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복원됐지만 산적한 현안을 풀기 위한 협상 수단으로 쓰기에는 부족하다는 뜻으로 보인다. 이에 통일부가 구축한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자유 왕래, 6·25 전사자 유해 공동발굴 작업 등 남북 간 9·19 군사합의 이행 조치 재개 가능성에 대해 박 수석은 “남북 간 합의했던 토대 위에서 출발하길 저희도 바라고 있다”며 “여러 가지 제안들을 가지고 희망적으로 논의를 앞으로 해나가야 될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박 수석은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해수부 공무원 피격 사건 등에 대한 북측의 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야권의 주장에 대해서 “남북 간에는 미래 과제도 있지만 풀어야 될 현안도 있는 것”이라며 “이제부터 복원된 채널을 통해, 조금 더 진전된 대화의 수단을 통해 그런 문제들을 논의해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박 수석은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과 더불어 북미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제 제가 발표할 때 말씀드렸지만 통신연락선의 복원이 남북 간 관계를 진전시키고 발전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리라 기대한다고 입장을 말씀을 드렸다”며 “그 안에는 당연히 북미관계의 선순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는 뜻도 함께 담겨 있다”고 했다. 

박 수석의 이같은 발언은 청와대가 통신연락선 복원을 ‘하나의 출발점’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각에서는 남북 정상이 친서 교환을 하며 남북정상회담이나 다른 현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청와대는 일단 부인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10개월도 남지 않았지만, ‘보여주기’ 식의 대형 이벤트보다는 한반도 비핵화에 목표를 두고 움직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