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상희 국회부의장 측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해 대비 금융기관 사칭 ‘스미싱’ 건수가 2.6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자나 긴급자금이 필요한 서민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진=Gettyimagesbank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국내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이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노리는 금융기관 사칭 스미싱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와 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상희 국회부의장은 6일 올해 들어 지난해 대비 금융기관 사칭 ‘스미싱’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여기서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 전송하는 범죄 수법이다. 문자를 받은 피해자들이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해당 번호로 전화를 하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이 탈취될 우려가 있다.

김상희 부의장이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8월까지 탐지된 금융기관 사칭 스미싱은 1,807건으로 지난해 대비 2.6배 증가했다. 반면, 택배 사칭은 지난해 대비 21%, 지인 사칭은 2%로 감소해 상반되는 결과가 확인됐다.

김상희 부의장은 “스미싱 범죄자들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 대출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저신용자나 긴급자금이 필요한 서민을 노리고 있다”며 “신용대출·정책금융을 사칭해 클릭을 유도하는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집계한 올해 스미싱 탐지 건수는 지난해대비 19%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경찰청에서 집계된 실제 피해 건수와 금액은 오히려 증가했다. 2021년 1월부터 8월까지 스미싱 피해 발생 건수는 829건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발생 건수를 넘어섰다. 이 속도대로라면 연말에는 1,2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피해액 역시 역대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김상희 부의장 측 입장이다.

김상희 국회부의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스미싱 탐지 시스템에 포착되지 않는 유형들이 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스미싱 탐지는 신고데이터를 기반으로 필터링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인터넷 사기 신고 시스템은 피싱·스미싱·파밍·보이스피싱 등을 각각의 소관부처가 따로 접수하고 있어 피해자가 신고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며 “인터넷 사기 범죄 신고 통합 플랫폼을 설치해 창구를 일원화하고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